Available via license: CC BY-NC 3.0
Content may be subject to copyright.
− 145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2(2): 145~158, 2017
https://doi.org/10.5720/kjcn.2017.22.2.145
ISSN 1226-0983 (print) / 2287-1624 (on-line)
최근
10
년간
한국인의
지역별·소득수준별
김치섭취
변화
:
2005
년
, 2015
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박정현
1)
·이해정
1),2)†
1)
가천대학교 노화임상영양연구소,
2)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Shifts in Kimchi Consumption between 2005 and 2015 by Region and Income
Level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2015)
Junghyun Park
1)
, Hae-Jeung Lee
1),2)
†
1)
Institute for Aging and Clinical Nutrition Research, Gachon University, Seongnam-si, Gyeonggi-do, Korea
2)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Gachon University, Seongnam-si, Gyeonggi-do, Korea
†
Corresponding author
Hae-Jeung Lee
1342 Seongnamdaero, Sujeong-
gu, Seongnam-si, Gyeonggi-do,
13120, Korea
Tel: (031) 750-4720
Fax: (031) 750-5974
E-mail: skysea1010@gmail.com
ORCID: 0000-0001-8353-3619
Acknowledg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EO164500-01).
Received: March 2, 2017
Re vis ed: April 14, 2017
Accepted: April 20, 2017
ABSTRACT
Objectives: The importance of kimchi as a traditional food in Korean cuisine has
gradually decreased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economic growth and changes in
dietary pattern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hifts in kimchi
consumption by region and by income level between 2005 and 2015 in Korea.
Method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III
(2005) and VI (2015) were used in the study (n=15,558). Intake of kimchi was
estimated using a single 24-hour dietary recall. The sample weights were applied in all
analyses to reflect population estimate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IBM Statistics 20.
Results: Kimchi intake h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27.6 g/day per capita during the
last decade in Korea; 25.0 g for males and 29.9 g for females, respectively. Over the
past decade, the decline of kimchi intake has been particularly significant in Seoul,
Busan, Incheon, Gyeonggi, and Gwangju, while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males living in rural areas. The consumption of kimchi across all income levels has
decreased, however, the decrease was higher in ‘middle and low income level’. The
amount of kimchi consumption in 2015 was the highest in ‘low income level’. The
results were similar after adjusting for gender and age.
Conclusions: For the past decade, the overall intake of kimchi in Korea has decreased,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decrease of kimchi intake for males living in the
rural area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n order to keep our traditional kimchi culture
and promote a balanced diet including kimchi for Korea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efficient policies and approaches. A variety of dishes using kimchi should be
developed, besides merely serving kimchi with rice as a side dish,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kimchi.
Korean J Community Nutr 22(2): 145~158, 2017
KEY WORDS kimchi consumption, shifts, decade, region, incom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
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SEARCH ARTICLE
146·최근 10년간 한국인의 김치 섭취량 변화
—————————————————————————
서론
—————————————————————————
김치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전통식품으로 삼국시대부터
식탁에 오르기 시작하였고 임진왜란(1 592) 이후에 고추가
도입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1] . 201 3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결과분석에 의하면 전국민이 먹는 식품 중에서 배
추김치가 세 번째로 많이 먹는 식품이었으며[2 ], 한국인의
식사패턴 연구에서는 ‘밥+국+김치’가 1위로 나타나는 등
김치는 한국인의 식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3- 4]. 급속한 경제성장 , 국민소득의 증가, 해외 외식업체
의 국내 진출 등의 영향으로 식생활의 서구화가 이루어지면
서 한국인의 식사패턴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지만 김치는
여전히 한국인에게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식품이다[5-7].
오랜 역사를 가진 김치는 미국의 월간 잡지 ‘Health’에 5
대 건강식품으로 소개되었고 , 김장이 유네스코 세계무형문
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등 세계적으로 우수한 건강 발효식품
으로 인정받고 있다[ 5]. 김치는 배추, 무 등의 채소류를 주
재료로 하고 고춧가루 , 파, 양파, 마늘 , 생강, 젓갈 등의 향신
료를 부재료로 가미하여 혼합적인 풍미를 생성하는 발효식
품이다[8 ]. 여러 재료들의 혼합으로 인해 어우러진 향기, 색
깔 등에 의해 식욕을 자극하는 관능적인 우수성을 가지고 있
고[ 9], 비타민 A, 비타민 C ,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
민과 칼슘, 철분 , 인 등의 무기질 및 섬유질이 풍부할 뿐만 아
니라 항암 효과[10-11], 항산화 효과[12-13], 체중감소
효과[14-16] 등 건강에도 좋은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 8 ] .
반면, 김치는 채소를 소금에 절여 발효시킨 식품으로 나
트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좋지 않다는 논란이 있
어 왔다 . 나트륨을 과량으로 섭취하게 되면 고혈압이나 심
혈관계질환의 위험을 높인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17-20].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06년 나트륨 1일
섭취 권고량을 2,0 00 mg으로 하향 조정하였고 2020년까
지 나트륨 섭취량을 20 % 이상 저감하겠다는 목표로 나트륨
저감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김치, 된장 같은 전통발효
식품의 나트륨 저감화도 이 사업의 일부로 추진되고 있다
[21-22]. 김치 섭취와 고혈압 유병률과의 관련성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 자
료를 이용한 단면연구에서 기인지 고혈압 환자를 제외한 성
인의 김치 섭취와 고혈압의 유병율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23], 우리나라 장기추적 조사인 안성·안산 코
호트 자료를 이용한 연구에서도 김치섭취와 고혈압 발생률
은 연관성이 없었다고 보고되었다[2 4]. 이러한 결과는 김치
에 여러 생리활성 성분뿐만 아니라 나트륨의 체외배출을 돕
는 칼륨 또한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25-26].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김치의 나트륨 함량만을 염두
에 두고 ‘김치 적게 먹기 ’를 권장한 것은 김치 섭취가 감소하
는데 어느 정도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다른 나라들
과의 국제교역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해외식품이 유입됨에 따
라 쌀 소비가 자연스레 감소되었고 밥과 함께 먹는 김치의 소
비도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치는 우리나라 전통 식문화
의 중심이고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건강 발효식품이기 때문
에 국가 차원에서 균형잡힌 식사와 함께 김치를 계승·보존
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우리 국민의 최근 김치 섭
취 동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전략적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까지 보고된 김치 섭취에 관한 연구는 특정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조사되었으며 주로 김치 섭취의 기호도
및 선호도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27-29]. 한국보건산업진
흥원에서 ‘국민영양통계’를 통해 매년 우리 국민의 평균 김
치 섭취량을 발표하고 있으나 , 최근의 김치 섭취량 변화나 지
역별·소득수준별 김치 섭취량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
따라서 ,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10년 사이(2005년과 2015년)의 한
국인의 김치 섭취량 변화를 살펴보고, 지역 및 소득수준에 따
른 변화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
(2005)와 제 6기 3차년도(2015)는 질병관리본부 연구윤
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수행되었다.
—————————————————————————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대상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전국민을 모집단으로 실시하는 대규
모 통계조사로서 크게 검진조사, 건강설문조사, 영양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는 제 3기( 200 5년)와 제 6기 3차년
도(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영양조사에 참여한 각
8,930명과 6,628명으로 총 15,558명(남자 7,109명, 여자
8,44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2. 김치 섭취량
김치 섭취량은 24시간 회상법(24hour recall)으로부터
1인 1일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24시간 회상법 조사결과에
김치 항목이 등장하지 않는 사람의 김치 섭취량은 ‘0’ 처리
하여 국민 평균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김치 섭취량은 각 연도에 등장한 배추김치, 깍두기를 포함
한 모든 김치를 합산하였다. 2005년 자료는 갓김치, 고들빼
박정현·이해정·147
기김치, 깍두기, 나박김치 , 동치미 , 무청김치 , 배추김치, 백김
치, 열무김치 , 오이소박이 , 유채김치, 총각김치, 파김치를 김
치 섭취량에 포함하였다 . 가공식품으로 분류된 돌산 갓김치,
백김치 , 총각김치는 각각 해당되는 김치 분류에 포함시키고
포기김치는 배추김치에 포함시켰다. 2015년 자료는 갓김
치, 고들빼기김치, 깍두기, 나박김치, 동치미, 배추김치, 백김
치, 열무김치 , 오이소박이 , 유채김치, 총각김치, 파김치를 포
함하였고,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분류코드에 따라 열
무물김치를 열무김치에 , 유채물김치를 유채김치에 포함시켰다.
성별·연령별·지역별·소득수준별 김치 섭취량 분석에
는 모든 김치 섭취량을 합산한 김치 섭취량과 우리나라 국민
의 섭취비율이 가장 높은 배추김치, 깍두기의 섭취량을 사용
하였다( Fig. 1).
3. 통계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가 층화집락추출표본이므로 층화변수,
집락변수, 영양조사 가중치를 고려한 복합표본설계를 반영
하여 분석하였다 . 지역별 김치 섭취량은 16개 시 ·도(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와 동·읍면으로 분석하였다.
소득수준별 김치 섭취량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소득 사분위
수(개인 )분류에 따라 하, 중하 , 중상, 상으로 분류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분포는 빈도분석을 통해 빈도
와 백분율(가중 백분율)을 도출하였고 교차분석(Chi-
squared Test, χ
2
-test)을 실시하여 백분율의 p-value를
산출하였다 . 각 김치 섭취량은 기술통계분석으로 평균 (Mean)
과 표준오차(Standard error)를 계산하였다. 2005년과
2015년 김치 섭취량 평균의 유의성 검정은 Student t-test
를 이용하였고 동일 년도의 소득수준별 김치 섭취량 차이는
일반선형모형(General Linear Model, GLM/p-values
for differences, PDIFF)으로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성·
연령을 보정한 평균의 산출은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
성은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
결과
—————————————————————————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분포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분포는 Table 1과 같다. 연구
대상자는 2005년 8,930명이었고, 2015년 6,628명이었
다. 2005년과 2015년 연구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유사하였
다. 대상자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2005년과 2015년 모두
19~64세 성인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른 연령층의 인구비
율은 약간 상이하였다. 2005년에는 12~18세 청소년의 비
율이, 2015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지역별 분포는 2005년과 2015년 모두 ‘읍·면’
보다 ‘동’의 비율이 높았고(각 82.3%, 83.4%), 16개 시·
Tabl e 1. Distribution of socio-demographic factors in KNHANES
2005 and 2015
Characteristics KNHANES
1)
p-value
2)
2005 2015
No. of individuals 8,930 (50.0) 6,628 (50.0)
Males (%) 4,167 (50.2)
3)
2,942 (50.0) 0.756
Age groups (%) in years
1−2 217 (52.1) 137 (51.8) < 0.001
3−5 403 (53.6) 209 (52.8)
6−11 889 (58.7) 448 (55.3)
12 −18 895 (59.6) 528 (58.0)
19 −64 5,522 (66.8) 3,849 (68.9)
65+ 1,004 (59.2) 1,457 (13.2)
Town (%)
Urban areas 7,191 (82.3) 5,375 (83.4) 0.712
Rural areas 1,739 (17.7) 1,253 (16.6)
Region (%)
Seoul 1,649 (20.8) 1,246 (19.5) 0.993
Busan 714 (57.5) 326 (56.7)
Daegu 475 (55.2) 376 (54.9)
Incheon 484 (55.4) 426 (55.7)
Gwangju 287 (53.0) 233 (53.0)
Daejeon 246 (53.0) 240 (53.7)
Ulsan 247 (52.2) 120 (52.4)
Gyeonggi 1,706 (22.0) 1,575 (24.5)
Gangwon 297 (53.1) 263 (53.4)
Chungbuk 322 (53.1) 198 (52.8)
Chungnam 318 (54.0) 305 (54.2)
Jeonbuk 447 (53.8) 254 (53.0)
Jeonnam 379 (53.9) 215 (54.0)
Gyeongbuk 554 (55.5) 349 (54.8)
Gyeongnam 644 (56.5) 366 (56.3)
Jeju 161 (51.1) 136 (51.1)
Income (%)
Low 2,346 (26.3) 1,656 (25.3) 0.727
Middle-low 2,256 (25.9) 1,636 (25.1)
Middle-high 2,141 (24.1) 1,637 (24.5)
High 2,100 (23.7) 1,661 (25.1)
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 Chi-squared test was applied to compare the percent
between 2005 and 2015.
3) Original number (weighted percent, %)
148·최근 10년간 한국인의 김치 섭취량 변화
도별 대상자 분포를 보면 2005년과 2015년 모두 ‘경기’, ‘서
울’, ‘부산’, ‘경남’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소득수준 4분위별
대상자 분포를 보면, 20 05년에는 ‘하’, ‘중하 ’, ‘중상’, ‘상’
순으로 비율이 높았고, 2015년에는 ‘하’, ‘중하’와 ‘상’, ‘중
상’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2. 김치 종류별 섭취비율
2005년과 2015년 전체 김치섭취 대비 개별 김치 섭취 비
율은 Fig. 1과 같다. 2005년에 가장 높은 비율은 배추김치
(72.6%)였고 그 다음으로는 깍두기(7.4%), 열무김치
(5.8%), 나박김치(5.1%), 총각김치(2.5%) 순이었다.
2015년의 김치 섭취비율도 배추김치가 69 .0%로 가장 높았
고, 그 다음으로는 깍두기(7.9%), 열무김치(7.5%), 총각김
치(4.6%), 동치미(3.7%) 순으로 나타났다.
3. 김치 섭취량의 변화
우리나라 김치 섭취량의 최근 10년간 변화는 Table 2와
같다. 김치 섭취량은 123.9 g에서 96.3 g으로 27.6 g
(22.3%) 감소하였고, 성·연령을 보정한 김치 섭취량은
33 .7 g 감소하였다. 그 중 배추김치의 섭취량이 89 .9 g에서
66.5 g으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 그 다음으로 깍두기의 섭
취량이 9.2 g에서 7 . 6 g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 경향은 성·
연령을 보정한 후에도 섭취량의 변화는 비슷하였다. 성별로
보면,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의 감소량은 남자 25.0 g, 여
자 29.9 g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성·연령을 보정한 평
균 섭취량도 이와 비슷하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Fig. 1. The composition of kimchi consumption between 2005 and 2005 in Korean population
Fig. 2A. Mean difference (g) in per capita kimchi consumption by region and between 2005 and 2015
*: p < 0.05, **: p < 0.01, ***: p < 0.001, Mea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using student t-test
박정현·이해정·149
Fig. 2B. Adjusted mean difference (g) in per capita kimchi consumption by region and by gender between 2005 and 2015
*: p < 0.05, **: p < 0.01, ***: p < 0.001, Adjusted mea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using ANCOVA
The values were adjusted for gender and age.
Tabl e 2. Changes of kimchi consumption in KNHANES 2005 and 2015 by gender
Kimchi consumption per capita (g/day)
2005 2015 10 year change P value
NMean±SE N Mean ±SE
Total population
Total kimchi 8,930 123.90
1)
±1.98 6,628 96.34 ±1.97 −27.6 < 0.001
2)
Baechu kimchi
3)
8,930 89.94 ±1.53 6,628 66.50 ±1.62 −23.4 < 0.001
Kkakdugi
3)
8,930 9.15 ±0.43 6,628 7.64 ±0.49 −1.5 <0.022
Male
Total kimchi 4,167 140.16 ±2.68 2,942 115.15 ±2.89 −25.0 < 0.001
Baechu kimchi 4,167 103.56 ±2.09 2,942 82.53 ±2.39 −21.0 < 0.001
Kkakdugi 4,167 11.47 ±0.62 2,942 9.71 ±0.77 −1.8 <0.075
Female
Total kimchi 4,763 107.48 ±1.91 3,686 77.55 ±2.05 −29.9 < 0.001
Baechu kimchi 4,763 76.18 ±1.47 3,686 50.48 ±1.64 −25.7 < 0.001
Kkakdugi 4,763 6.80 ±0.47 3,686 5.58 ±0.42 −1.2 <0.054
Gender and age-adjusted kimchi consumption per capita (g/day)
2005 2015 10 year change P value
NMean±SE N Mean ±SE
Total population
Total kimchi 8,930 127.00 ±1.97 6,628 93.31 ±1.82 −33.7 < 0.001
4)
Baechu kimchi 8,930 91.63 ±1.53 6,628 64.82 ±1.59 −26.8 < 0.001
Kkakdugi 8,930 9.23 ±0.46 6,628 7.55 ±0.58 −1.7 <0.011
Male
Total kimchi 4,167 144.09 ±2.68 2,942 111.37 ±2.71 −32.7 < 0.001
Baechu kimchi 4,167 105.92 ±2.10 2,942 80.27 ±2.30 −25.6 < 0.001
Kkakdugi 4,167 11.67 ±0.63 2,942 9.52 ±0.76 −2.2 <0.030
Female
Total kimchi 4,763 109.98 ±1.89 3,686 75.18 ±1.97 −34.8 < 0.001
Baechu kimchi 4,763 77.41 ±1.46 3,686 49.32 ±1.64 −28.1 < 0.001
Kkakdugi 4,763 6.80 ±0.46 3,686 5.58 ±0.43 −1.2 <0.053
1) Mean daily per capita kimchi consumption
2) Student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means per capita kimchi consumption between 2005 and 2015.
3) Baechu kimchi: napa cabbage kimchi, Kkakdugi: Korean radish kimchi
4) ANCOVA was performed and gender and age were adjusted.
150·최근 10년간 한국인의 김치 섭취량 변화
Tabl e 3. Changes of kimchi consumption in KNHANES 2005 and 2015 by 16 cities and provinces of Korea
Kimchi consumption per capita (g/day)
2005 2015 10 year change P value
NMean±SE N Mean ±SE
Seoul
Total Kimchi 1,649 121.36
1)
±53.71 1,246 82.88 ±53.87 −38.5 < 0.001
2)
Baechu kimchi
3)
1,649 90.25 ±53.57 1,246 57.11 ±53.47 −33.1 < 0.001
Kkakdugi
3)
1,649 8.67 ±50.83 1,246 6.87 ±51.10 −1.8 <0.193
Busan
Total Kimchi 714 133.00 ±10.92 326 80.48 ±56.41 −52.5 < 0.001
Baechu kimchi 714 91.96 ±55.13 326 51.21 ±54.76 −40.8 < 0.001
Kkakdugi 714 12.19 ±51.99 326 8.90 ±52.12 −3.3 <0.260
Daegu
Total Kimchi 475 84.59 ±54.17 376 101.29 ±56.91 16.7 <0.039
Baechu kimchi 475 67.08 ±54.89 376 73.99 ±58.97 6.9 <0.499
Kkakdugi 475 5.69 ±50.66 376 6.77 ±52.18 1.1 <0.634
Incheon
Total Kimchi 484 141.93 ±58.51 426 82.91 ±58.03 −59.0 < 0.001
Baechu kimchi 484 102.82 ±58.57 426 60.19 ±55.16 −42.6 < 0.001
Kkakdugi 484 11.81 ±51.38 426 7.04 ±51.46 −4.8 <0.018
Gwangju
Total Kimchi 287 141.81 ±13.03 233 98.56 ±14.86 −43.3 <0.029
Baechu kimchi 287 106.45 ±11.19 233 69.85 ±10.42 −36.6 <0.017
Kkakdugi 287 10.92 ±51.75 233 8.99 ±52.68 −1.9 <0.548
Daejeon
Total Kimchi 246 129.61 ±58.27 240 107.50 ±58.78 −22.1 <0.068
Baechu kimchi 246 99.54 ±58.33 240 71.39 ±58.81 −28.1 <0.021
Kkakdugi 246 5.80 ±51.99 240 8.81 ±53.34 3.0 <0.441
Ulsan
Total Kimchi 247 111.55 ±58.21 120 82.80 ±58.10 −28.8 <0.013
Baechu kimchi 247 79.40 ±54.72 120 63.38 ±59.87 −16.0 <0.144
Kkakdugi 247 9.78 ±50.89 120 7.33 ±50.67 −2.4 <0.029
Gyeonggi
Total Kimchi 1,706 129.46 ±54.86 1,575 99.71 ±53.56 −29.8 < 0.001
Baechu kimchi 1,706 92.49 ±53.40 1,575 67.41 ±52.79 −25.1 < 0.001
Kkakdugi 1,706 9.72 ±51.10 1,575 8.87 ±51.11 −0.9 <0.585
Gangwon
Total Kimchi 297 174.02 ±15.68 263 133.97 ±19.02 −40.0 <0.105
Baechu kimchi 297 136.39 ±15.60 263 99.07 ±18.47 −37.3 <0.124
Kkakdugi 297 9.82 ±54.11 263 7.78 ±52.27 −2.0 <0.664
Chungbuk
Total Kimchi 322 117.39 ±58.09 198 96.13 ±11.13 −21.3 <0.123
Baechu kimchi 322 89.64 ±57.47 198 69.29 ±57.20 −20.3 <0.051
Kkakdugi 322 6.62 ±50.90 198 3.01 ±51.56 −3.6 <0.046
Chungnam
Total Kimchi 318 143.09 ±58.39 305 114.76 ±58.80 −28.3 <0.020
Baechu kimchi 318 87.90 ±56.44 305 70.38 ±58.13 −17.5 <0.092
Kkakdugi 318 13.33 ±53.29 305 9.61 ±52.39 −3.7 <0.360
Jeonbuk
Total Kimchi 447 129.68 ±10.54 254 116.20 ±12.21 −13.5 <0.404
Baechu kimchi 447 98.95 ±57.69 254 77.71 ±56.48 −21.2 <0.035
Kkakdugi 447 6.22 ±51.36 254 6.66 ±52.19 0.4 <0.864
박정현·이해정·151
Tabl e 3. continued
Kimchi consumption per capita (g/day)
2005 2015 10 year change P value
NMean±SE N Mean ±SE
Jeonnam
Total Kimchi 379 127.89 ±58.10 215 113.06 ±58.39 −14.8 <0.204
Baechu kimchi 379 86.09 ±56.13 215 77.35 ±57.52 −8.7 <0.369
Kkakdugi 379 10.75 ±51.62 215 7.72 ±52.45 −3.0 <0.303
Gyeongbuk
Total Kimchi 544 88.41 ±56.05 349 96.85 ±10.81 8.4 <0.496
Baechu kimchi 544 67.30 ±55.09 349 68.62 ±57.38 1.3 <0.883
Kkakdugi 544 5.93 ±51.29 349 4.69 ±51.73 −1.2 <0.567
Gyeongnam
Total Kimchi 644 105.99 ±55.51 366 99.99 ±59.75 −6.0 <0.592
Baechu kimchi 644 71.01 ±53.95 366 72.15 ±56.98 1.1 <0.887
Kkakdugi 644 8.34 ±51.28 366 7.51 ±52.24 −0.8 <0.748
Jeju
Total Kimchi 161 114.19 ±10.19 136 68.42 ±13.13 −45.8 <0.006
Baechu kimchi 161 98.85 ±10.11 136 53.49 ±11.46 −45.4 <0.003
Kkakdugi 161 7.92 ±51.15 136 6.57 ±51.33 −1.3 <0.443
Gender and age-adjusted kimchi consumption per capita (g/day)
2005 2015 10 year change P value
NMean±SE N Mean ±SE
Total population
Total kimchi 8,930 127.00 ±51.97 6,628 93.31 ±51.82 −33.7 < 0.001
4)
Baechu kimchi 8,930 91.63 ±51.53 6,628 64.82 ±51.59 −26.8 < 0.001
Kkakdugi 8,930 9.23 ±50.46 6,628 7.55 ±50.58 −1.7 <0.011
Seoul
Total Kimchi 1,649 124.66 ±53.76 1,246 79.94 ±53.67 −44.7 < 0.001
Baechu kimchi 1,649 92.32 ±53.66 1,246 55.35 ±53.30 −37.0 < 0.001
Kkakdugi 1,649 8.72 ±50.86 1,246 6.88 ±51.11 −1.8 <0.197
Busan
Total Kimchi 714 135.67 ±10.69 326 78.13 ±55.89 −57.5 < 0.001
Baechu kimchi 714 93.58 ±55.46 326 49.83 ±55.10 −43.8 < 0.001
Kkakdugi 714 12.23 ±52.01 326 8.93 ±52.08 −3.3 <0.252
Daegu
Total Kimchi 475 87.36 ±54.45 376 98.55 ±57.56 11.2 <0.208
Baechu kimchi 475 68.44 ±54.72 376 72.68 ±59.35 4.2 <0.682
Kkakdugi 475 5.71 ±50.66 376 6.76 ±52.21 1.1 <0.651
Incheon
Total Kimchi 484 145.49 ±58.22 426 79.42 ±56.27 −66.1 < 0.001
Baechu kimchi 484 104.88 ±58.31 426 58.08 ±54.25 −46.8 < 0.001
Kkakdugi 484 12.19 ±51.30 426 6.66 ±51.30 −5.5 <0.002
Gwangju
Total Kimchi 287 145.61 ±12.44 233 95.19 ±14.22 −50.4 <0.010
Baechu kimchi 287 108.22 ±10.25 233 68.37 ±10.13 −39.8 <0.007
Kkakdugi 287 11.15 ±51.97 233 8.80 ±52.48 −2.3 <0.453
Daejeon
Total Kimchi 246 132.37 ±57.48 240 103.80 ±58.76 −28.6 <0.015
Baechu kimchi 246 100.36 ±57.30 240 69.40 ±10.22 −31.0 <0.016
Kkakdugi 246 6.10 ±51.80 240 8.45 ±53.11 2.4 <0.508
152·최근 10년간 한국인의 김치 섭취량 변화
4. 지역별 김치 섭취량의 변화
16개 시·도별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의 변화는 Table
3과 같다. 김치 섭취량과 배추김치 섭취량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감소한 지역은 서울, 부산, 인천, 광주, 경기, 제주(6
Tabl e 3. continued
Gender and age-adjusted kimchi consumption per capita (g/day)
2005 2015 10 year change P value
NMean±SE N Mean ±SE
Ulsan
Total Kimchi 247 113.21 ±56.91 120 81.41 ±58.12 −31.8 <0.002
Baechu kimchi 247 80.02 ±53.15 120 62.92 ±59.75 −17.1 <0.084
Kkakdugi 247 9.93 ±50.92 120 7.21 ±50.78 −2.7 <0.029
Gyeonggi
Total Kimchi 1,706 133.21 ±54.88 1,575 96.20 ±53.09 −37.0 < 0.001
Baechu kimchi 1,706 94.59 ±53.41 1,575 65.35 ±52.54 −29.2 < 0.001
Kkakdugi 1,706 9.82 ±51.12 1,575 8.73 ±51.13 −1.1 <0.497
Gangwon
Total Kimchi 297 176.11 ±16.48 263 129.53 ±15.86 −46.6 <0.043
Baechu kimchi 297 137.61 ±16.30 263 95.29 ±16.36 −42.3 <0.068
Kkakdugi 297 9.92 ±54.07 263 7.70 ±52.15 −2.2 <0.623
Chungbuk
Total Kimchi 322 121.10 ±58.88 198 92.12 ±12.22 −29.0 <0.059
Baechu kimchi 322 91.75 ±57.56 198 66.97 ±57.75 −24.8 <0.025
Kkakdugi 322 6.73 ±51.01 198 2.88 ±51.50 −3.8 <0.031
Chungnam
Total Kimchi 318 145.99 ±59.05 305 112.08 ±56.70 −33.9 <0.003
Baechu kimchi 318 88.84 ±56.99 305 69.49 ±57.86 −19.4 <0.064
Kkakdugi 318 13.41 ±53.33 305 9.53 ±52.48 −3.9 <0.345
Jeonbuk
Total Kimchi 447 134.68 ±10.98 254 112.82 ±10.50 −21.9 <0.160
Baechu kimchi 447 102.32 ±57.60 254 75.46 ±55.09 −26.9 <0.004
Kkakdugi 447 6.08 ±51.28 254 6.92 ±52.38 0.8 <0.763
Jeonnam
Total Kimchi 379 129.38 ±56.41 215 111.01 ±57.24 −18.4 <0.057
Baechu kimchi 379 86.80 ±55.23 215 76.11 ±57.43 −10.7 <0.236
Kkakdugi 379 10.82 ±51.73 215 7.59 ±52.35 −3.2 <0.272
Gyeongbuk
Total Kimchi 544 91.03 ±56.45 349 94.86 ±10.06 3.8 <0.752
Baechu kimchi 544 69.18 ±55.28 349 67.17 ±57.21 −2.0 <0.825
Kkakdugi 544 5.78 ±51.25 349 4.88 ±51.70 −0.9 <0.662
Gyeongnam
Total Kimchi 644 108.46 ±55.94 366 97.03 ±59.80 −11.4 <0.321
Baechu kimchi 644 72.18 ±54.01 366 70.40 ±57.18 −1.8 <0.828
Kkakdugi 644 8.45 ±51.27 366 7.42 ±52.22 −1.0 <0.682
Jeju
Total Kimchi 161 115.20 ±56.85 136 67.69 ±54.18 −47.5 < 0.001
Baechu kimchi 161 99.68 ±57.16 136 52.83 ±54.34 −46.9 < 0.001
Kkakdugi 161 8.00 ±51.47 136 6.54 ±52.09 −1.5 <0.568
1) Mean daily per capita kimchi consumption
2) Student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means per capita kimchi consumption between 2005 and 2015.
3) Baechu kimchi: napa cabbage kimchi, Kkakdugi: Korean radish kimchi
4) ANCOVA was performed and gender and age were adjusted.
박정현·이해정·153
개 시·도)이었고, 성·연령을 보정했을 때는 위에서 언급
한 지역에 대전이 추가된 7개 시·도였다. 김치 섭취 감소량
은 인천이 59.0 g으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부산 52.5 g, 제주 45.9 g, 광주 43.3 g, 서울 38.5 g, 경기
29.8 g 순으로 감소하였다 . 이러한 패턴은 성·연령 보정 후
에도 비슷하였다. 200 5년 대비 김치 섭취량이 감소하였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지역은 대전, 강원, 충북, 전
북, 전남, 경남이었고 성·연령을 보정한 후에는 충북, 전북,
전남, 경남이었다. 김치 섭취량이 오히려 증가한 지역은 대
구와 경북이었다.
Tabl e 4. Changes of kimchi consumption in KNHANES 2005 and 2015 by income level
Kimchi consumption per capita (g/day)
2005 2015 10 year change P value
NMean±SE N Mean ±SE
Low
Total Kimchi 2,346 123.54
1)
±4.18 1,656 101.28
a
±3.95 −22.3 < 0.001
2)
Baechu kimchi
3)
2,346 90.50 ±2.63 1,656 73.61
a
±3.20 −16.9 < 0.001
Kkakdugi
3)
2,346 9.40 ±0.85 1,656 6.70 ± 0.81 −2.7 <0.022
Middle-low
Total Kimchi 2,256 127.32 ±2.96 1,636 97.23
b
±3.62 −30.1 < 0.001
Baechu kimchi 2,256 93.23 ±2.71 1,636 65.32
b
±2.99 −27.9 < 0.001
Kkakdugi 2,256 8.79 ±0.74 1,636 8.27 ± 1.03 −0.5 <0.679
Middle-high
Total Kimchi 2,141 124.56 ±3.72 1,637 96.47
c
±3.65 −28.1 < 0.001
Baechu kimchi 2,141 88.85 ±2.69 1,637 66.05
c
±2.98 −22.8 < 0.001
Kkakdugi 2,141 9.09 ±0.76 1,637 7.33 ±0.78 −1.8 <0.107
High
Total Kimchi 2,100 120.21 ±3.38 1,661 90.76
bc
±3.65 −29.5 < 0.001
Baechu kimchi 2,100 87.41 ±2.64 1,661 60.95
bc
±3.05 −26.5 < 0.001
Kkakdugi 2,100 9.39 ±0.82 1,661 8.30 ±0.93 −1.1 <0.385
Gender and age-adjusted kimchi consumption (g/day)
2005 2015 10 year change P value
NMean±SE N Mean ±SE
Low
Total Kimchi 2,346 126.24 ±4.04 1,656 97.62 ±3.56 −28.6 < 0.001
4)
Baechu kimchi 2,346 92.06 ±2.57 1,656 71.21 ±3.04 −20.9 < 0.001
Kkakdugi 2,346 9.40 ±0.85 1,656 6.60 ±0.81 −2.8 <0.018
Middle-low
Total Kimchi 2,256 130.07 ±2.96 1,636 94.78 ±3.50 −35.3 < 0.001
Baechu kimchi 2,256 94.67 ±2.66 1,636 64.10 ±3.01 −30.6 < 0.001
Kkakdugi 2,256 8.91 ±0.75 1,636 8.18 ±1.01 −0.7 <0.556
Middle-high
Total Kimchi 2,141 128.58 ±3.58 1,637 93.03 ±3.46 −35.5 < 0.001
Baechu kimchi 2,141 91.09 ±2.61 1,637 64.22 ±2.86 −26.9 < 0.001
Kkakdugi 2,141 9.29 ±0.79 1,637 7.18 ±0.79 −2.1 <0.061
High
Total Kimchi 2,100 123.28 ±3.28 1,661 88.23 ±3.59 −35.0 < 0.001
Baechu kimchi 2,100 89.07 ±2.55 1,661 59.62 ±3.05 −29.4 < 0.001
Kkakdugi 2,100 9.45 ±0.83 1,661 8.28 ±0.93 −1.2 <0.352
1) Mean daily per capita kimchi consumption
2) Student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means per capita kimchi consumption between 2005 and 2015.
Means in a column without a common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α=0.05 by GLM/PDIFF
3) Baechu kimchi: napa cabbage kimchi, Kkakdugi: Korean radish kimchi
4) ANCOVA was performed and gender and age were adjusted.
154·최근 10년간 한국인의 김치 섭취량 변화
‘동’과 ‘읍·면’의 최근 1 0년간 김치 섭취량 변화를 분석
하였을 때(Fig. 2A, Fig. 2B), ‘동’과 ‘읍·면’ 모두 김치 섭
취량과 배추김치 섭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
고, 섭취량 감소의 폭은 ‘동’ 지역에서 더 컸다. 이러한 결과
는 성·연령을 보정한 후에도 동일하였다. 성별로 보면, 남
자의 최근 10년간 김치와 배추김치 섭취량이 ‘동’ 지역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읍·면’ 지역에서는 섭취량이 감소하
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성·
연령을 보정한 후에도 동일하였다. 여자의 김치와 배추김치
섭취량은 ‘동’, ‘읍·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보정 후
에도 그 경향은 동일하였다.
5. 소득수준별 김치 섭취량의 변화
소득수준별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의 변화를 분석한 결
과(Table 4), 소득수준 ‘하’, ‘중하’, ‘중상 ’, ‘상’ 모두에서
김치와 배추김치 섭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
고, 성·연령을 보정한 후에도 동일하였다 . 소득수준 ‘중하’
에서 최근 10년간 김치와 배추김치의 감소량은 각각 30.1 g
과 27.9 g으로 가장 높았고, 소득수준 ‘상’에서의 감소량은
각각 2 9.5 g과 26. 5 g이었다. 김치와 배추김치 섭취량의 감
소량은 소득수준 ‘하’에서 가장 적었고 보정 후에도 동일하
였다. 2005년과 2015년 각 년도에서 소득수준 간에 김치
섭취량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을 때, 2005년에는 ‘하’, ‘중
하’, ‘중상’, ‘상’ 간의 김치 섭취량이 차이가 없었고, 2015
년에는 소득 계층 ‘하’와 ‘상’ 간의 김치 섭취량이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
—————————————————————————
고찰
—————————————————————————
본 연구의 분석 결과, 2005년에 비해 2015년에는 배추
김치의 섭취량이 줄고 다른 김치의 섭취량이 조금씩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20 15년에는 배추김치의 섭취비율이 3.6%
감소되었고 깍두기나 열무김치 등의 섭취비율이 다소 늘었
고 동치미도 2005년 2%에서 3.7%로 두드러진 증가를 보
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김치 종류별 섭취비율 순위는 국
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2005년) 결과보고서에서 제시된 개
별 김치 섭취량 순위와 동일하였다[30]. 2006년 부산지역
에서 조사된 초등학생 대상 선행연구에서도 배추김치, 깍두
기, 열무 및 총각김치 순으로 섭취하였다고 보고하였다 [3 1] .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은 2 005년에 비해 2015년에 유
의하게 감소하였고 성별로도 남녀 모두 감소하였다. Kim 등
[5]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2007-2009)와 제 5기
(2010-2012) 자료를 이용한 성인 대상 연구에서도 김치
섭취량이 제 4기 128.6 g에서 제 5기 115.6 g으로 13 g 감
소하였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다
만, 본 연구가 10년 간의 변화를 분석했기 때문에 김치 섭취
량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사료된다.
김치의 섭취량이 아닌 섭취 빈도에 관해서는 20 12년도에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지가 개발되어 성인의 배추김치 섭
취빈도 산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만 19세 이상 64세 미만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이긴 하지만 2012-2013년의 배추김
치 섭취빈도에 관한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는 1년간 ‘매일 3
번 이상 배추김치를 섭취하는 비율’이 2012년 25.9%에서
2013년 23.6%로 줄어[3 2] 본 연구의 섭취량 변화와 동일
한 추세였다 .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김치의 세계화와 건강 기능성 김
치의 개발을 위해 2010년에 ‘세계김치연구소’를 설립하고
김치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33], 여전히 국내
의 김치 섭취량은 매년 감소하고 있어 균형 잡힌 식사와 함
께 건강하게 김치를 소비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
16개 시·도별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의 변화를 살펴
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지역은 대도시였고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이 감소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
은 지역은 농·어촌 비율이 높은 지역이었다. 이는 전통적인
식사패턴을 유지하는 노인들의 인구비율이 높기 때문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농촌고령자 실태 및 정책개선방안’ 보고서
에 따르면[ 34], 전국의 ‘동·읍·면 연령대별 노인인구 비
율’을 보면 ‘동’지역은 6 5~69세 노인이 34.3%, 70~74세
노인 27.9%, 75~79세 노인 19.5%, 80세 이상 노인
18.3%였고, ‘읍’지역은 65~69세 노인 24.9%, 70~74세
노인 26.7%, 75~79세 노인 24.1%, 80세 이상 노인
24.4%였다. 또한 ‘면’ 지역은 65~69세 노인 29.1%,
70~74세 노인 27.3%, 75~79세 노인 22.1%, 80세 이상
노인 21.5%로, 75세 이상 노인의 ‘읍·면’ 지역 거주 비율
이 높았다 . 추가적으로 연령별 김치 섭취량을 분석했을 때에
도 75세 이상의 김치 섭취량이 2005년 대비 2015년에 감
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Appendix 1).
지역에 따른 김치 섭취실태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각 지역의 김치 섭취 선호도 및 기호도[27-28], 나트륨 함
량[3 5- 36]에 관한 내용이 대부분이어서 본 연구 결과와 직
접적인 비교는 어려웠다.
동과 읍·면의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의 변화는 ‘동’과
‘읍·면’ 지역 모두 유의하게 감소했고 감소의 폭은 ‘동’ 지
역에서 더 높았다. 하지만 ‘읍·면’ 지역을 성별로 분류하여
살펴보았을 때 여자에서는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박정현·이해정·155
남자에서는 감소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16개 시·
도별 결과에서 농·어촌 비율이 높은 지역의 김치 섭취량 감
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남자 노인의 섭취량이
감소하지 않았던 것도 고려하여 그 이유에 대해서는 다른 식
품 섭취량 변화와 함께 감소 요인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농촌 노인의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음식을 분석한 선
행연구에 의하면,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주요 음식군은
김치류(28.3%), 국·탕류(22.9%), 찌개류(9.8%), 양
념류(8.2%), 나물·무침류(6.0%), 구이류(4.6%) 순이
었다[ 37].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는 균형 잡힌 식사보다는 흰밥+김
치+해조류와 같은 식사패턴을 유지할 것으로 생각되는 노
인비율이 높은 농촌지역[38], 그 중에서도 남자노인에게는
나트륨 함량이 적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김치를 개발·보
급하면서 동시에 균형 잡힌 식생활 교육의 병행이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
소득수준별 2005년과 2015년 김치 섭취량의 변화에 의
하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김치 섭취량도 적고 최근 10년간
의 감소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소득수준이 낮은 군보다
소득수준이 높은 군일수록 김치 이외의 다양한 음식을 더 많
이 섭취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모든 국민의 김치소비를 늘리기 위해서는 저염김
치 등 새로운 김치 연구 및 개발도 중요하지만 김치를 활용
한 다양한 요리의 개발과 활용 가능한 레시피의 보급으로 김
치 소비의 활성화, 특히 소득수준이 높은 계층의 소비를 유
도하는 다각적인 시도들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24시간 회상법의 단점, 즉 조사
전날 하루 동안의 식사가 평상시의 식사를 반영할 수 없다는
점과 기억에 의존하는 조사이기 때문에 회상 시 오류가 발생
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다만, 개인이 아닌 대규모 인
구집단을 대상으로 김치 섭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기 때문
에 이러한 단점이 어느 정도 극복되었을 것이라 여겨진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국민 전체를 대표하는 데이터를 사
용했기 때문에 최근 10년간 우리국민의 김치 섭취량 변화와
지역별·소득수준별 김치 섭취량 변화값에 대한 대표성을
가진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김치 섭취가 유의하게 줄지 않
은 농·어촌지역에서는 저염김치 보급과 균형된 식사에 대
한 교육에 주력하고, 소득수준이 높은 계층을 위해서는 김치
를 활용한 다양한 음식 개발 및 레시피를 보급한다면 김치 소
비 촉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결과가 추
후 김치 소비 촉진을 위한 정책 및 추진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요약 및 결론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3기( 2005년)와 제 6기
3차년도(2015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전체, 지역별, 소
득수준별 10년간 김치 섭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
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치 총 섭취량에 대한 개별 김치의 섭취비율은 2005년
에는 배추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 나박김치, 총각김치 순으
로 높았고, 2015년에는 열무김치까지는 20 05년과 동일하
였으나 그 다음이 총각김치, 동치미 순이었다 . 배추김치 섭
취비율은 낮아지고 그 외 다른 김치 섭취비율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국민의 김치 섭취량은 최근 10년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더욱 많이 감소
하였다.
지역별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은 16개 시·도 중에서
서울, 부산, 인천, 광주, 경기, 제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대구, 경북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 ‘동’ 지역과
‘읍·면’ 지역 모두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
소하였으나, ‘읍·면’ 지역의 남자에게서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섭취량 변화가 없었다.
소득수준별 최근 10년간 김치 섭취변화는 ‘하’, ‘중하’, ‘중
상’, ‘상’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감소량은 ‘중하 ’,
‘상’에서 가장 높았고, 보정 후에는 ‘중하’, ‘중상’에서 가장
높았다. 2015년 김치 섭취량은 ‘하’에서 가장 높았다. 소득
수준 그룹 간의 김치 섭취량을 비교했을 때, 2005년도에는
그룹간 차이가 없었고, 2015년에는 ‘상’과 ‘하’ 그룹의 김치
섭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으로 볼 때, 최근 10년간 한국인의 김치 섭취량은 감
소되는 추세이고, 성별로는 여자에게서, 지역별로는 대도
시에서의 감소폭이 컸던 반면, 농·어촌 비율이 높은 지역
의 김치 섭취량, 특히 남자 김치 섭취량의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득수준 그룹 간의 김치 섭취
량이 과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근에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앞으로 김치의 나트륨 함량은 줄이면서 맛과 건강에 좋은
최적의 발효 공정을 개발하고 지역의 특산 재료를 활용한 다
양한 김치를 개발하는 동시에 가정에서도 활용 가능한 김치
요리 레시피를 보급하며 김치를 포함한 균형된 식사 교육 등
의 노력을 통해 한국의 우수한 전통음식인 김치를 계승·보
전해야 할 것이다 .
156·최근 10년간 한국인의 김치 섭취량 변화
—————————————————————————
감사의 글
—————————————————————————
본 연구는 한국식품연구원 연구비(EO164500-01)의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표와 그림
작업을 도와준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김소현 학생께 감사
드립니다.
—————————————————————————
References
—————————————————————————
1. Jang DJ, Chung KR, Yang HJ, Kim KS, Kwon DY. Discussion
on the origin of kimchi, representative of Korean unique
fermented vegeta bles. J Ethn Food 2015; 2(3): 126-136.
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National
Food & Nutrition Statistics 2013: based on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15 [cited 2017 Feb 16].
Available from: https://www.khidi.or.kr/.
3. Choi J, Moon HK. Comparison of dietary patterns by sex and
urbanization in different economic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3): 346-35 8.
4. Song Y, Joung H. A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 and
metabolic syndrome abnormalitie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2; 22(5): 456-462.
5. Kim EK, Park YK, Ju SY, Choi EO. A study on the kimchi
consumption of Korean adults: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J Korean Soc Food
Cult 2015; 30(4): 406-412.
6. Kang M, Joung H, Lim JH, Lee YS, Song YJ. Secular trend in
dietary pattern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11; 44(2): 152-161.
7. Park YH, Kang M, Baik HW, Oh SW, Park SJ, Paik HY et al.
A study on the perception as HANSIK (Korean food) for the
common dishes in Korean adults resid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555-
578.
8. Kim JH, Yoon HR. A survey on the nationwide customers' usage
of kimchi consumption. Korean J Food Nutr 2012; 25(2): 299-
307.
9. Kim DY, Lee H, Choue R.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preference and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in Chinese and
Korean students residing in Korea. Korean J Food Cult 2013;
28(2): 158-166.
10. Ryu JC, Park KY. Anticlastogenic effect of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and buchu (leek) kimchi in mitomycin C-
induced micronucleus formations by supravital staining of mouse
peripheral reticulocytes. Environ Mut Carcino 2001; 21(1): 51-
56.
11. Hur YM, Kim SH, Park KY. Inhibitory effects of kimchi extracts
on the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J Food
Sci Nutr 1999; 4(2): 107-112.
12. Kim BK, Choi JM, Kang SA, Park KY, Cho EJ. Antioxidative
effects of kimchi under different fermentation stage on radical-
induced oxidative stress. Nutr Res Pract 2014; 8(6): 638-643.
13. Kim JH, Ryu JD, Song YO. The effect of kimchi intake on free
radical production and the inhibition of oxidation in young adults
and the elderly people.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2):
257-265.
14. Sousa R, Halper J, Zhang J, Lewis SJ, Li WIO. Effec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supernatants on body weight and leptin
expression in rat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08; 8(1): 5.
15. Kwon JY, Cheigh HS, Song YO.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powder in rats fed high fat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4; 36(6): 1014-1019.
16. Cheigh HS. Critical review o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95; 5(2): 89-101.
17. Kim HR, Kim MS, Kim MH, Son CW, Kwak ES, Heo OS et al.
Analysis of sodium(Na) and potassium(K) content of side dishes
purchased from traditional and super market in Daejeo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9; 19(3): 350-355.
18. Song MR, Lee KJ. Salinity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imchi
and soup stew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8;
24(1): 84-91.
19.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
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20. Karppanen H, Mervaala E. Sodium intake and hypertension. Prog
Cardiovasc Dis 2006; 49( 2): 59-75.
21. Jang YJ. Low sodium policy status and discussion in domestic
and overseas.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2013 [cited
2017 Feb 20]. Available from: https://www.nars.go.kr/
brdView.do?brd_Seq=1589&cmsCd= CM0018.
22. Park H, Lee M, Yoon E, Chung H. Sodium reduction in
traditional fermen ted foods. Food Sci Ind 2016; 49(2): 34-44.
23. Song HJ, Lee HJ. Consumption of kimchi, a salt fermented
vegetable, is not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revalence. J Ethn
Food 2014; 1(1): 8-12.
24. Song HJ, Park SJ, Jang DJ, Kwon DY, Lee HJ. High
consumption of salt-fermented vegetables and hypertension risk
in adults: a 12-year follow-up study. Asia Pac J Clin Nutr 2016;
doi: 10.6133/apjcn.042016.1 3.
25. Zhao X, Yin X, Li X, Yan LL, Lam CT, Li S et al. Using a
low-sodium, high-potassium salt substitute to reduce blood
pressure among Tibetans with high blood pressure: A patient-
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LoS One 2014; 9(10):
e110131.
26. Rodrigues SL, Baldo MP, Machado RC, Forechi L, Molina
MDCB, Mill JG et al. High potassium intake blunts the effect of
elevated sodium intake on blood pressure levels. J Am Soc
Hypertens 2014; 8(4): 232-238 .
27. Kim IW, Cho YB. A study on preference for purchase and
ingestion of kimchi am ong Busan residents. Culi Sci Hos Res
2006; 12(4): 187-198.
28. Kim JH, Park WP, Kim JS, Park JH, Ryu JD, Lee HG et al. A
survey on the actual state in kimchi in Kyung-nam(II): The
박정현·이해정·157
study of the notion and preference of kimchi products for sale.
Korean J Dietary Cult 2000; 15(2): 147-153.
29. Lee GY, Park ES, Park KY. Survey on kimchi intake patterns
and attitudes towards development of functional kimchi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8 ): 1226-1233.
3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The Third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Nutrition
Surve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06 [cited 2017 Feb 16]. Available from: https://www.khidi.or.kr/.
31. Kang JH, Lee KA. The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kimchi, tteok and eumcheong varieties. Korean J Food Cult
2008; 23(5): 543-555.
32. Ha AW, Ju SY. Nutrient intakes and frequently consumed foods
among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intake frequency of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Based on the 2012~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6; 49(2): 125-133.
33. World Institute of Kimchi. Mission and Function [Internet].
World Institute of Kimchi; 2017 [cited 2017 Feb 14]. Available
from: https://www.wikim.re.kr/.
3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and Policy Improvement Pla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cited 2017 Mar 10].
Available from: http://www.krei.re.kr/web/www/23?p_p_id=EXT_
BBS&p_p_lifecycle=0&p_p_state=normal&p_p_mode=view&_E
XT_BBS_struts_action=%2Fext%2Fbbs%2Fview_message&_EX
T_BBS_messageId=407784.
35. Kim HR, Kim MS, Kim MH, Son CW, Kwak ES, Heo OS et al.
Analysis of sodium(Na) and potassium(K) content of side dishes
purchased from traditional and super market in Daejeo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9; 19(3): 350-355.
36. Song MR, Lee KJ. Salinity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imchi
and soup stew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8;
24(1): 84-91.
37. Moon HK, Choi SO, Kim JE. Dishe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of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123-136.
38. Song Y, Paik HY, Joung H. A comparision of cluster and factor
analysis to derive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22-733.
158·최근 10년간 한국인의 김치 섭취량 변화
Appendix 1. Changes in kimchi consumption in KNHANES 2005 and 2015 by age
Kimchi consumption per capita (g/day)
2005 2015 10 year change P value
NMean±SE N Mean ±SE
1~2 y
Total Kimchi 217 11.98 ±2.04 137 8.34 ±1.64 −3.64 <0.165
1)
Baechu kimchi 217 7.82 ±1.46 137 5.41 ±1.22 −2.42 <0.204
Kkakdugi 217 0.86 ±0.45 137 1.56 ±0.71 0.70 <0.402
3~5 y
Total Kimchi 403 35.02 ±2.97 209 24.30 ±2.66 −10.72 <0.008
Baechu kimchi 403 28.13 ±2.67 209 18.67 ±2.51 −9.47 <0.010
Kkakdugi 403 3.22 ±0.52 209 3.08 ±0.68 −0.14 <0.869
6~11 y
Total Kimchi 889 69.31 ±3.04 448 42.45 ±3.21 −26.87 < 0.001
Baechu kimchi 889 55.35 ±2.71 448 32.30 ±2.92 −23.05 < 0.001
Kkakdugi 889 5.57 ±0.67 448 3.52 ±0.63 −2.05 <0.027
12~18 y
Total Kimchi 895 94.86 ±3.45 528 65.40 ±4.19 −29.46 < 0.001
Baechu kimchi 895 74.19 ±2.95 528 50.33 ±3.99 −23.86 < 0.001
Kkakdugi 895 9.88 ±1.01 528 7.01 ±1.14 −2.86 <0.062
19~64 y
Total Kimchi 5,522 142.10 ±2.48 3,849 106.61 ±2.49 −35.49 < 0.001
Baechu kimchi 5,522 102.15 ±1.80 3,849 75.01 ±2.02 −27.14 < 0.001
Kkakdugi 5,522 10.51 ±0.54 3,849 8.56 ±0.63 −1.95 <0.019
65~74 y
Total Kimchi 719 140.57 ±4.82 884 112.74 ±5.13 −27.83 < 0.001
Baechu kimchi 719 98.68 ±4.37 884 70.11 ±4.75 −28.57 < 0.001
Kkakdugi 719 7.03 ±1.16 884 7.87 ±1.19 0.84 <0.612
75 y+
Total Kimchi 285 119.14 ±8.45 573 107.35 ±6.56 −11.79 <0.272
Baechu kimchi 285 80.93 ±5.81 573 55.75 ±4.24 −25.18 <0.001
Kkakdugi 285 3.81 ±1.16 573 5.09 ±1.16 1.28 <0.436
1) Student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mean per capita kimchi consumption between 2005 and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