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PDF Available

Expression Techniques and Aesthetic Values of Head Dress Reflected on Natural Motif

Authors: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expression techniques and aesthetic values in the images of head dress reflected in a natural motif.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the realistic expression (52.4%) such as the reproduction of a natural object`s essential form (27.0%), the partial derivation of the natural object (19.3%), and the planarization for the actual image of the natural object (6.1%). The second type is a metaphorical expression (39.0%) which emphasiz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e (18.2%), the structuration of the natural object`s silhouette into a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orm (11.5%), and the abstract expression of the form in the natural object (9.3%). The third type is a hybrid expression (8.6%) that is a compromise between practical (or metaphorical expressions) so that expression techniques represent a compromise between the natural object`s essential form and abstract expression (4.6%) or the combination of the natural object`s silhouette into a three-dimensional or a two-dimensional visualization (4.0%). Aesthetic head dress values reflected in the natural motif first indicate a primitive value. This state of natural instinct recreates the natural object or combines part of the biological elements of the natural object to create an inducement to escape from the practical world. The second is amusement in the expression of animals in dynamic and humorous forms creates an illusion of animals being alive with a representative playful enjoyment. The third is abstraction that grant freedom in the observer`s aesthetic rational through a reinterpretation of the fashion designer. The fourth is eclecticism where a compromise represents an act of mixing a variety of independent factors to create harmony with the imagery of nature created through the grafting of diverse expression techniques that break away from stereotypes of existing natural objects to create a type of nature that cultivates new values.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과 미적 가치
김영삼·김영민 *·김장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패션디자인전공,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Expression Techniques and Aesthetic Values
of Head Dress Reflected on Natural Motif
Young-Sam Kim · Young-Min Kim*· Jang-Hyeon Kim
Dept. of Fashion Design, College of Arts, Chung-Ang University
*Dept. of Design,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Received April 19, 2016; Revised May 11, 2016; Accepted June 1, 2016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expression techniques and aesthetic values in the images of head dress reflected in a
natural motif.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type is the realistic expression (52.4%)
such as the reproduction of a natural object's essential form (27.0%), the partial derivation of the natural
object (19.3%), and the planarization for the actual image of the natural object (6.1%). The second type is a
metaphorical expression (39.0%) which emphasiz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e (18.2%), the
structuration of the natural object's silhouette into a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orm (11.5%),
and the abstract expression of the form in the natural object (9.3%). The third type is a hybrid expression
(8.6%) that is a compromise between practical (or metaphorical expressions) so that expression techniques
represent a compromise between the natural object's essential form and abstract expression (4.6%) or the
combination of the natural object's silhouette into a three-dimensional or a two-dimensional visualization
(4.0%). Aesthetic head dress values reflected in the natural motif first indicate a primitive value. This state
of natural instinct recreates the natural object or combines part of the biological elements of the natural ob-
ject to create an inducement to escape from the practical world. The second is amusement in the expression
of animals in dynamic and humorous forms creates an illusion of animals being alive with a representative
playful enjoyment. The third is abstraction that grant freedom in the observer's aesthetic rational through a
reinterpretation of the fashion designer. The fourth is eclecticism where a compromise represents an act of
mixing a variety of independent factors to create harmony with the imagery of nature created through the
grafting of diverse expression techniques that break away from stereotypes of existing natural objects to
create a type of nature that cultivates new values.
Key words:Head dress, Natural motif, Expression techniques, The aesthetic values; 헤드 드레스, 자연적
모티프, 표현 기법, 미적 가치
I. 서론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써 자연과 함께 오랜 세월에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왔다. 자연은 인간의 삶을
746
Corresponding author
E-mail: jamie8122@nate.com
논문은 2015년도 중앙대학교 CAU GRS 지원에 의하
작성되었음.
2016,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All rights reserved.
EISSN 2234-0793
PISSN 1225-115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40, No. 4 (2016) p.746~762
http://dx.doi.org/10.5850/JKSCT.2016.40.4.746
연구논문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과 미적 가치 157
영속할 있는 지혜의 터전이며, 자연의 변화와 질서
속에서 인간이 감응하는 다양한 미적 경험들은 이를
실의 세계에 구현하고자 하는 인간의 표현 욕구와 결부
되어 자연의 형상을 그대로 재현하거나 재해석을 통한
창조적 활동의 상징 구조인 예술로 구체화되었다. 패션
분야에서도 조형적인 표현 수단인 복식을 활용하여
연에서 인식되는 다양한 특성을 반영 독창적인 디자
인을 선보이고 있는데, 특히, 토털 코디네이션이 강조
되고 있는 현대 패션에 있어서 자연적 모티프(motif)
반영된 헤드 드레스는 의상과 함께 원시 자연의 분위기
형성하는데 일조함과 동시에 패션 디자이너들의
연에 대한 미적 관념과 결부하여 실재계에 있는 자연물
기표화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있다
(Kim et al., 2015).
연구와 관련된 최근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면
연적 모티프와 관련된 연구는 현대 패션에 표현된 자연
모티프의 특성에 관하여 분석하는 연구(Im & Lee,
2013; Kim, 2010a; Kim, 2012a), 자연적 모티프를 토대
패션 디자인을 개발하는 연구(Kang, 2010; Lee & Lee,
2006) 등이 있다 . 또한, 헤드 드레스와 관련된 연구는
디자이너의 작품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분석하는
(Park et al., 2013), 패션, 메이크업 또는 헤어와 헤드
레스와의 관련성에 관하여 분석한 연구(Kim & Chung,
2014; Kim & Lee, 2011; Lee & Kim, 2013), 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과거 복식에 나타난 헤드 드레스에 관하여
석하거나 원형을 재현한 연구(Kim & Mon, 2006; Kim,
2003), 헤드 드레스에 나타난 예술 사조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Kim, 2012b; Yoon & Song, 2012)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자연적 모티프에 관련된 연구는 주로 현대 패션을
토대로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거나 디자인 개발에
적을 두고 있으며, 헤드 드레스에 관련된 연구는 사적
미학 고찰을 통하여 특성을 분석하거나 헤드
레스와 상관관계를 갖는 다양한 외적 요소들과의 관련
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 자연적 모티프
반영 헤드 드레스를 중심으로 표현 기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미적 가치에 대해 분석하는 연구는 미흡
실정이다.
연구는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미지를 대상으로 표현 기법과 안에 내재되어
미적 가치에 대해 고찰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인류와 공존해 자연의 다양한 산물들이 새로움
추구하는 현대 패션의 속성에 상응하는 하나의 주요
소재가 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며 , 나아가 현장
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들에게 인간의 속에 산재되
있는 여러 요소들의 접목을 통하여 독창적인 헤드
레스를 창출하기 위한 창작의 동기를 부여해 있다
의의가 있다.
연구를 위한 내용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
드레스와 자연적 모티프에 대해 이론적인 고찰을
시한다. 둘째, 정량적 정성적 연구를 위해 최근 10
4 패션 컬렉션을 중심으로 자연적인 모티프가
타난 헤드 드레스의 이미지를 일차적으로 추출하고 ,
연적 모티프의 표현 방법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련한 연구의 분석 기준에 입각하여 헤드 드레스의
유형에 대해 분류, 표현 기법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 셋째, 이를 바탕으로 헤드 드레스에 나타난 자연적
모티프의 미적 가치를 파악한다.
연구방법은 헤드 드레스 자연적 모티프에 관련된
학술단체에 게재된 선행연구 논문, ·내외 단행본 ,
터넷 전문서적을 중심으로 이론적인 연구와
컬렉션의 이미지를 살펴볼 있는 인터넷 웹사이트
(http://runway.vogue.co.kr, http://www.samsungdesign.net)
활용하여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 이미
자료 374장을 수합하고, 이를 토대로 정량적 ·정성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 연구의 범위는 2006 S/S부터 2015
F/W까지 최근 10년간 4 컬렉션을 중심으로 자연적
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로 한정하였다.
II. 이론적 배경
1. 헤드 드레스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
헤드 드레스(head dress)뇌와 , , 눈을 포함하
, 목의 위에 위치한 신체의 부분 의미하는 ‘head’
(Longman advanced American dictionary: The Diction-
ary for Academic Success, 2008, p. 743)입다, 장식하
, 꾸미다 뜻을 내포하는 ‘dress’(Longman advanced
American dictionary: The Dictionary for Academic Suc-
cess, 2008, p. 486) 합성된 단어로써 사전적 의미를
펴보면머리 부분을 덮는 것의 총칭으로 해트, , 보닛,
후드, 베일 등의 머리 모자류와 가발, 헤어스타일, 헤어
액세서리 등을 포함한 머리 장식 전반을 가리키는
(Fashion dictionary editorial committee, 1999, p. 725)
한다.
헤드 드레스에 관한 다양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드레스란 Ahn(2003) 의하면 , 리본 , 등의
747
158 한국의류학회지 Vol. 40 No. 4, 2016
장식이나 모자와 같이 머리에 착용하는 모든 것을
컫는 용어로 헤드 기어(head gear)라고도 한다고 정의하
였으며, Park(2013) 연구에서는 의례나 신분에 따라
격식을 갖추기 위하여 또는 머리를 장식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 부분을 덮는 일체의 총칭이라고 하였다.
, Yoo and Kim(1999) 의하면 다양한 의미와 상징성
내포 헤드 드레스는 예로부터 복식의 형태로
용되어져 왔으며 , 사회 ·문화 ·교적 소산 동시에
인간의 정신세계를 나타내는 수단이자 강한 메시지
도구로 활용되어 왔다고 하였으며, Kim(2012b)
의하면 헤드 드레스는 기후나 외부의 장해들로부터
부분을 보호하고자 하는 보호적 , 이나 신분
나타내거나 교적 면을 표출하기 위한 상징적
, 인간의 미적 욕구를 표현하기 위한 장식적
행한다고 하였다.
, 헤드 드레스란 다양한 신체의 요소 머리의
분에 착용하는 모든 요소들을 수반하는 것이라고
있으며, 시대의 사회 ·문화적 현상을 대변하는 표상
이자, 미에 대한 인간의 정신세계를 반영하는 하나의
호라고 있다.
헤드 드레스는 크게 보호적, 상징적, 장식적
다고 있다(Kim, 2012b; Park, 2013; Yoo & Kim,
1999: Yoon & Song, 2012). 머리에는 중추신경계
·형태적으로 가장 고차 (高次) 통합 수행하는
(“Brain”, 2016) 위치한,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있다. 또한, 머리는 인간과의 의사소
통에 있어 자신의 이에 있는 상대방을 응시하였을
, 가장 선적으로 인식되는 부분이라고 있다
(Yoon & Song, 2012). 예로부터 인간은 신체에서 가장
중요하고, 외부로부터 공격 있는 부분들을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를 다양한 형태의 복식을
통하여 충족왔다. 다시 해서, 헤드 드레스가
하게 경은 신체를 보호하고자 하는 인간의
기인한다고 있다. 상징적인 수행하는 헤드
드레스는 교적 또는 삶의 이상 같은 물리적이
추상적인 관념을 기호화하여 공동체의 정체성을
정하며, 하나의 이념으로 결속된 , , 사회 체계
내에서 향력 하는 부분 단을 분리하고, 그들
권력 나타내기 위한 표상으로써의 의미를 .
이와 , 헤드 드레스의 장식적인 인간의
욕구의 으로 활용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단보다는 개인적인 다고 있다. , 인간
인간, 상호간의 교류에서 개인의 자아를 표현하는
법으로서의 수행하는 것이라고 있으며,
통하여 인간은 자신의 미적 욕구를 충족 동시
자신만의 개성을 형성해 나감으로써 타인에게 자신
정체성을 각인시키는 과를 자아내게 된다. 이는
드레스의 상징적인 부분적인 맥락에서 연관
성을 다고 있다.
2. 자연적 모티프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
자연의 속에서 표출되는 경이로 현상들과
신만의 독특한 특성을 함양하고 있는 다양한 물들은
자연의 일부로서 살아가는 인간이 가장 이상적으로
각하는 동경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와 같은 경에는
연이란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하게 변화하는 속에서
이에 적합하도 스스로 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가장
합리적인 형태 (Park, 2006) 갖추고 있기 문이다.
속에서 성장해 인간 자연을 지속적으로
방하면서 자연에 동화되고자 하였다.
자연적 모티프란 인간의 독창적이고 수한 표현
위인 예술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자연의 형태를 대상
으로 간주하는 의도(Yang et al., 2014) 의미한다. 인간
다양한 자연의 형태들에 대한 끊임없 관찰과 사유
통하여 분리하거나, , 재조합하는 다양한 시도를
통하여 예술이라는 하나의 조형적인 형태로 구체화하였
. , 예술의 영역에 있어 자연은 본질 그대로의
복사되는 재현적인 의미가 , 예술가의 주관에
해서 다시 구성되는 표현으로서 하나의 새로 대상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Cho, 1973) 있다. 미술공예
동에 사상가인 John Ruskin(as cited in
Lee, 2001)자연의 형태에서 기인하지 디자인은
결코 것을 ”(p. 17) 하였으며,
Papanek(1983/1993)모든 미적 가치 체계는 자연의
상적 형태에 지나지 으며 , 다움에 대한 인식은
형태와 물학적 과정에 있다”(p. 149)
주장하였다. 고대 그리스의 학자 Aristoteles(as ci-
ted in Kim & Ryu, 2009)예술은 자연의 모방 ”(p. 79)
이라고 하여 예술의 창작적 모태가 되는 자연에 대해
하였다. 또한, 스의 미학자인 Jouffroy(as cited in
Tolstoy, 1897/1977)미란 눈에 보이지 것이 자연
형상으로 인해 표현된 것이다. 눈에 보이는 세계는
이며, 리는 그것을 통해서 미를 인식하게 된다”(p. 51)
하였다.
다시 해서, 다움을 표현함에 있어서 자연은
748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과 미적 가치 159
어서는 가결한 존재일 , 예술가
사유에 의해서 창조되는 대상이 되는 것이며,
패션은 자연의 본질적인 미를 표출하기 위한 유용한
단이자 도구라고 있다 .
현대 패션에서 자연물을 차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특징으로 과거에는 밝고 자연물을
적으로 활용하여 표현하 있었으나,
다양한 재료나 방법의 접목을 통하여 어두
연물의 부분까지도 형상화하는 현상을 있다(Lee et
al., 2010). 이와 같은 일련의 창작 행위들은 물질문
회의 이면에서 하는 인간의 소외감이나 수성의
실에서 어나 자연으로의 통하여 심리적인 안정
도모하기 위한 면과 인간의 욕에 의해 황폐화되
가고 있는 자연 태계의 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고자 하는 으로 표출된다고 있다(Eun & Park,
2011; Hahn & Kim, 1999; Kim & Kim, 2006; Lee et al.,
2010). 이와 같이 패션 분야에서 다양한 자연물을 대상으
디자인을 선보이는 인간의 삶에서 오는
로움보다는 정신적인 요로움을 고자 하는 것이며,
간이 자연을 하고, 자연 질서를 인간에게 추어
한다(Eun & Park, 2011) 인간중심적인 사고에서
어나 자연과 함께 공존해야 한다는 자연 화적인 의식
부여하 차원의 노력이라고 있다.
III.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유형 분류 기준
하나의 조형 가치를 함양하고 있는 자연의
양한 요소들은 새로움을 창조해야 하는 패션 디자
이너들에게 한한 영감을 주는 같은 존재적
치를 , 헤드 드레스는 이를 실체화할 있는
나의 공간적 의미와 대중들에게 자연의 감성적 이미지
있는 기호적 의미를 갖는다고 있다.
장에서는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과적인 표현 유형의 분류를 위해 자연적 모티프를 표현
하는 방법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분류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1차적으로 수합한 헤드 드레스
이미지들을 범주화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고,
표현 기법에 대해 정성적인 고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자연적 모티프를 표현하는
법은 연구자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어 왔다. Kim
and Lee(2008) 연구에서는 자연물의 외형적인 형상
사실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접적인 표현 방법 , 외형적
형상의 상징화를 통해 은유적으로 나타내는 간접적인
표현 방법, 접적 형태와 간접적인 형태를 합한
적인 표현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 Yang(2013)
연구에서는 자연 요소의 원형을 접적으로 나타내는
원형 재현적 표현 방법, 자연 요소의 형상을
상화하여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원형 재해석 표현 방법,
원형 재현적 표현 방법과 원형 재해석 표현 방법을 함께
활용하는 복합적 표현 방법으로 구분하였다. 마지으로,
Yang et al.(2014)에서는 자연 그대로를 재현하는
표현 방법, 자연을 재해석 화하여 표현하는 간접
표현 방법, 접적인 표현 방법과 간접적인 표현 방법
함께 사용하는 복합적인 표현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
이상의 선행연구를 합해 보면, 자연 모티프를 표현
하는 방법은 공통적으로 , 간접, 복합적 표현으로
분류되고 있음을 있었다. 이를 토대로 자연적
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유형 분류를 위한
연구의 기준은 자연의 본질적인 외형 그대로를 표현하
표현 방법, 자연의 외형적 형상을 재해석하고
추상화하여 표현하는 은유적 표현 방법, 표현
법과 은유적 표현 방법의 통하여 나타내는
표현 방법의 가지 기준으로 있으며,
도표화해 보면 <Fig. 1> 같다.
IV.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방법에 따른 표현 기법
장에서는 마련한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드레스의 표현 유형에 관한 분류 기준을 중심으로
연물의 형상을 사실적인 형태로 나타내는 표현
헤드 드레스, 자연의 외형적 형상을 재해석하고 추상
화한 은유적 표현의 헤드 드레스, 표현 방법과
은유적 표현 방법의 통하여 나타내는 성적
현의 헤드 드레스의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세부적
표현 기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미지 분류에
관성을 보하기 위하여, 패션 디자인 전공 석사
4, 2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단에게 2차에 걸쳐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이미지가
표현 유형의 범주(1) 표현 기법(2) 포함되는지
대한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관한 도는
계분석 프로그 SPSS Ver. 18.0 사용한 결과 , 1
표현 유형의 범주에 대한 Cronbach's α .778, 2 표현
법에 대한 Cronbach's α .786으로 나타으며 , 합적인
Cronbach's α .787으로 도출되었다.
749
160 한국의류학회지 Vol. 40 No. 4, 2016
1. 자연물의 형상이 사실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제적 표현의 헤드 드레스
자연물의 형상이 사실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현의 헤드 드레스란 자연물 본연 그대로의 형상이 헤드
드레스에 표출 의미한다. 정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표현의 헤드 드레스의 결과는 52.4% 나타으며,
헤드 드레스의 표현을 위한 기법은 자연물의
질적 형상의 재현(27.0%), 자연물의 부분적 차용(19.3%),
자연물의 이미지를 통한 면화(6.1%) 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자연물의 본질적 형상의 재현이다. 이는 자연물
형태나 , 또는 털이나 자연물이 함양하
있는 적인 사실적으로 재현한 것으로써
대표적인 예를 살펴보면, Betsey Johnson 2010 F/W
(木皮) 같이 질감의 소재가 보이는
위에 박제(剝製)화된 작은 형태의 새와 새의
<Fig. 2>하여 새가 머리 위에 있는
자연스러 분위기를 연출하였으며, 2011 F/W
Pam Hogg 선보인 헤드 드레스 <Fig. 3>
개를 펼친 마리의 까마들을 연속적으로
하여 치함으로써 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이미
지를 자아내었다 . Alexander McQueen 2008 S/S 고인
영국의 패션 에디터이자 스타일 아이 Isabella
Blow 추모하고자 에게 도움을 받았던 모자
디자이너 Philip Treacy 함께 라보레이션을 행하
였다. <Fig. 4> 같이 리의 통한 헤드
레스는 불규칙 이감의 변화를 통하여
적인 형상으로 작된 각각의 들에게 역동성을
여함으로써 마치 아오거나,
이는 착각을 러일으. Sorapol 2014 F/W
검붉 상의 가재를 활용하여 작된 헤드
레스<Fig. 5> 머리 위에 착장시는데,
두상 좌우 어지는 게와 으로 다리는
이는 같은 생명 관찰자에
게감과 감을 준다고 있다. 2010 S/S에서
Headonism 선보인 헤드 드레스는 <Fig. 6> 같이
열매 과장되게 대하고, 표면에 광택 과를
으로써 시각적으로 과일의 신선함이 느껴지도 하였다.
또한, Imitation of Chris 2012 S/S에서는 Lydia He -
arst 대중들 에서 Imitation of Chris 의상을 착용한
bridesmaids 함께 (Singer, 2011) 리는
패션 선보였는데, <Fig. 7>처럼 화를 접목하
꽃에서 느껴지는 아하고 , 여성스러 자연의 감성
신부의 이미지를 보이 하였다.
유사한 형태로, Andrea Crew 2010 S/S에서 창한
Fig. 1. The analyzing standards for categorizing head dress reflected natural motif according to advanced research
based on natural motif.
750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과 미적 가치 161
밀림 형태를 소화하여 헤드 드레스<Fig. 8> 구성
함으로써 원시적인 자연의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둘째, 자연물의 부분적 차용이다. 대표적인 예를 살펴
보면, ‘Go Wild in the Country’ 행된 Topshop
Unique 2010 F/W 수사 <Fig. 9>이나
<Fig. 10> 모티프로 하여 헤드 드레스를 구성
하였으며, Aminaka Wilmont 2010 S/S에서는 새의
부분의 차용을 통한 헤드 드레스<Fig. 11> 성하였
. 이와 같이 동물의 부분적인 차용을 통한 헤드 드레스
자연에 동화된 인간의 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반인반수와 같은 이한 형태를 함으로써
부자연스러움에서 오는 표출하였다. 또한, 2009
F/W에서 Simonetta Ravizza 문양이 표출되는
동물의 접목<Fig. 12>하거나, 2014 F/W Fa-
shion East처럼 활용한 모자<Fig. 13>
물들이 함양하고 있는 야수적이면서도 원시적인 이미지
표출하고 있다. 이와 새의 털을 활용한 2014
S/S Junya Watanabe<Fig. 14> 뭇잎만을 차용한 2010
S/S Bernhard Willhelm<Fig. 15> 헤드 드레스는 자연
물의 해체를 통하여 부분적인 요소만을 통합함으로써
자연이라는 대상을 적으로 강조하고 , 자연 대한
새로 미적 가치를 표출하고자 하는 디자이너의 열린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고 있다.
셋째, 자연물의 이미지를 통한 면화이다. 대표
적인 예를 살펴보면, Moschino 2011 F/W에서는
무늬 들어간 슬림 수트 정장에 장미
꽃을 이미지화한 면적인 형태의 헤드 드레스 <Fig. 16>
접목하였으며, Bernard Chandran 2010 S/S에서
물고기를 면화한 헤드 드레스<Fig. 17>
보였다. 이는 3차원으로 구현되는 자연의 재현적 요소를
거하고, 적인 기호화를 통하여 이상적인
자연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대중들에게 본질과
원상으로써의 자연에 대한 수한 지각을 러일으
것이라고 있다.
이상의 사례 고찰을 통하여 적인 표현의 헤드
레스는 자연물의 본질적 형상의 재현하거나 자연물의
Fig. 2. Betsey Johnson,
2010 F/W.
From New York - 2010 F/W
Betsey Johnson. (2010).
http://www.samsungdesign.net
Fig. 3. Pam Hogg,
2011 F/W.
From London - 2011 F/W
Pam Hogg. (2011).
http://www.samsungdesign.net
Fig. 4. Alexander
McQueen, 2008 S/S.
From Paris - 2008 S/S
Alexander McQueen. (2007).
http://www.samsungdesign.net
Fig. 5. Sorapol,
2014 F/W.
From London - 2014 F/W
Sorapol. (2014).
http://www.samsungdesign.net
Fig. 6. Headonism,
2010 S/S (I).
From London - 2010 S/S
Headonism. (2009a).
http://www.samsungdesign.net
Fig. 7. Imitation of Christ,
2012 S/S.
From New York - 2012 S/S
Imitation of Christ. (2011).
http://www.samsungdesign.net
Fig. 8. Andrea Crews,
2009 F/W.
From Paris - 2009 F/W
Andrea Crews. (2009).
http://www.samsungdesign.net
Fig. 9. Topshop Unique,
2010 F/W (I).
From London - 2010 F/W
Topshop Unique. (2010a).
http://www.samsungdesign.net
751
162 한국의류학회지 Vol. 40 No. 4, 2016
부분적 차용 , 또는 자연물의 이미지를 통한 면화
기법을 통하여 표출된다고 있다. 이와 같이
공되지 자연물을 헤드 드레스에 접목하는
자연물이 내포하고 있는 합리적이고 유기적인 규칙
표현하는 것이며 , 대중들의 시각에 가공되지
자연물의 접적인 형상을 보여으로써 마치 자연물이
살아 이며, 자연 안에 존재하는 심상의
변화를 통해 자연에 동화된 인간을 있는
나의 수단으로 작용하였다고 해석할 있다.
2. 자연의 외형적 형상을 재해석하고 추상화한
유적 표현의 헤드 드레스
자연물의 형상을 재해석하여 나타내는 은유적 표현
헤드 드레스란 디자이너의 독창적인 해석을 통하여
자연의 요소의 본질적인 형태나 특성에 변화를 주어
드레스에 접목한 것을 의미한다. 정량적인 분석을
하여 은유적 표현의 헤드 드레스의 결과는 39.0%
으며, 헤드 드레스의 은유적 표현을 위한 기법은
연의 형태적 특성의 강조(18.2%), 자연물의 실루
체적 또는 면적인 형태로 구조화 (11.5%), 추상적으로
자연물의 형상을 표현(9.3%) 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연물의 형태적 특성의 강조이다. 이는 패션
재를 활용한 다양한 기법들을 적용하여 자연물이 함양하
있는 특징적인 형태만을 상징화하여 부각시으로써
관찰자는 사유의 경험 속에 내재된 자연물의 이미지를
자연스 연상하게 되며, 자연에 대한 다움까지도
간접적으로 느낄 있게 된다. 대표적인 예를 살펴보면,
2015 F/W에서 Afvandevorst 선보인 헤드 드레스<Fig.
18> 미의 서해안에 위치한 Peru 여행하며 영감을
독수리 Condor(Leitch, 2015) 외형적 형상을 마치
이접기한 처럼 블랙 소재에 주어
성하였다. 또한, 2012 S/S Bernard Chandran 2010 S/S
에서는 <Fig. 19> 같이 소재를 활용하여 물고
모양의 선의 형태와 입체적인 형태미가 보이는
헤드 드레스를 선보였다. 이는 디자인의 선이나 형태를
Fig. 10. Topshop Unique,
2010 F/W (II).
From London - 2010 F/W
Topshop Unique. (2010b).
http://www.samsungdesign.net
Fig. 11. Aminaka Wilmont,
2010 S/S.
From London - 2010 S/S
Aminaka Wilmont. (2009).
http://www.samsungdesign.net
Fig. 12. Simonetta
Ravizza, 2009 F/W.
From Milano - 2009 F/W
Simonetta Ravizza. (2009).
http://www.samsungdesign.net
Fig. 13. Fashion East,
2014 F/W.
From Fall/Winter 2014 Ready
to Wear Fashion East. (2014).
http://runway.vogue.co.kr
Fig. 14. Junya Watanabe,
2014 S/S.
From Spring/Summer 2014 Ready
To Wear Junya Watanabe. (2013).
http://runway.vogue.co.kr
Fig. 15. Bernhard
Willhelm, 2010 S/S.
From Paris - 2010 S/S
Bernhard Willhelm. (2009).
http://www.samsungdesign.net
Fig. 16. Moschino,
2011 F/W.
From Fall/Winter 2011 Ready
To Wear Moschino. (2011).
http://runway.vogue.co.kr
Fig. 17. Bernard
Chandran, 2010 S/S (I).
From London - 2010 S/S
Bernard Chandran. (2009a).
http://www.samsungdesign.net
752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과 미적 가치 163
부각시키는 특성 (Song, 2000) 활용하여
연의 형태적 이미지를 강조한 것이라고 있다. 2009
F/W Agatha Ruiz de la Prada 쉬폰 소재에
다량의 주어 두상 전체를 하는 헤드
드레스<Fig. 20> 선보였으며, ‘Nomad’
행된 Diane von Furstenberg 2009 F/W에서는 <Fig. 21>
같이 무채색 상으로 구성된 소재 상단의
음으로써 속에서 자라난 꽃의
이미지를 표출하였다.
, 자연물의 실루 입체적 또는 면적인
태로 구조화한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The hunted and
the hunters’ 스로 시작된 Bernhard Willhelm
2009 S/S 컬렉션에서는 <Fig. 22> 같이 속성 소재를
활용하여 리의 거대한 형상을 입체적인 구조물로
구현하였으며, 2007 S/S John Galliano<Fig. 23>
소재를 조합하여 새의 털에서 표출되
날카면서도 선감이 살아 있는 실루 형상
성하였다. 또한, Elisa Palomino 2012 S/S에서
보인 헤드 드레스<Fig. 24>처럼 꽃의 외형적
2차원의 면적인 형태로 구성하였다. 패션은
세계와 신체를 중재하는 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결정
하는 (Yim, 2014)으로써 이와 같은 표현 기법들은
물의 외형적 형태에 주목하고, 패션 디자인 요소
하나인 선을 활용하여 표현하는 , , 인간의 선험
사유를 통해 자연을 구체화하는 것이라고
. 이는 패션에서 신체의 부분을 강조할 ,
다란 겨진 소재를 사용(Khajeh et al., 2016)
하여 으로 하여 주목성을 가시키는 것과 같은
유사한 과를 자아다고 있다.
, 자연물의 형상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2010 S/S Headonism 헤드 드레스<Fig.
25> 같이 일정한 간격의 잡혀 있고,
도가 녹색, 또는 황색 소재를 원추형
으로 여러 작하여 반복적으로 또는 병치하고,
상이 변화하는 원통형의 디지털 기계를 접목하여 자연
에서 오는 감과 형태감을 표출하였다. John Galliano
2012 S/S<Fig. 26> 면의 시점에서 관찰 있는
개와 이를 유선형의 상징적인 선으로
Fig. 22. Thom Browne,
2014 F/W.
From Paris - 2014 F/W
Thom Browne. (2014).
http://www.samsungdesign.net
Fig. 23. John Galliano,
2007 S/S (I).
From Paris - 2007 S/S
John Galliano. (2006a).
http://www.samsungdesign.net
Fig. 24. Elisa Palomino,
2012 S/S.
From London - 2012 S/S
Elisa Palomino. (2011).
http://www.samsungdesign.net
Fig. 25. Headonism,
2010 S/S (II).
From London - 2010 S/S
Headonism. (2009b).
http://www.samsungdesign.net
Fig. 18. A.F. Vandevorst,
2015 F/W.
From Fall/Winter 2015 Ready
to Wear A.F. Vandevorst. (2015).
http://runway.vogue.co.kr
Fig. 19. Bernard
Chandran, 2010 S/S (II).
From London - 2010 S/S
Bernard Chandran. (2009b).
http://www.samsungdesign.net
Fig. 20. Agatha Ruiz de
la Prada, 2009 F/W.
From Milano - 2009 F/W Aga-
tha Ruiz de la Prada. (2009).
http://www.samsungdesign.net
Fig. 21. Diane von
Furstenberg, 2009 F/W.
From New York - 2009 F/W
Diane von Furstenberg. (2009).
http://www.samsungdesign.net
753
164 한국의류학회지 Vol. 40 No. 4, 2016
하여 르누보적 감성을 자아내었으며, 2008 F/W Ho-
use of Holland 식물에서 자아내는 유기적인 선의
태와 함께 선을 활용한 태양의 선을 하여 수공
예적인 르누보와 적인 르테코를 동시에 함양
있는 헤드 드레스<Fig. 27> 선보였다 . 이는 자연
수용을 통하여 사실적 표현이 시적으
표현함으로써 자연의 가장 수한 형태를 상징화하
였다고 있다. 또한, 2012 F/W Anna Sui<Fig. 28>
Jean Paul Gaultier 2010 F/W<Fig. 29>에서는 올빼
외형 특징에서 표출되는 눈과 부리를 의도
적으로 조작과 왜곡, 변형에 의한 디자이너의 재해석을
통하여 해학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놀람 음을 자아
내게 한다 .
이상의 사례 고찰을 통하여 자연물을 은유적으로
현한 헤드 드레스는 자연의 형태적 특성을 강조하거나
자연물의 외형적 실루 입체적 또는 면적인 형태
구조화, 또는 추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표출된다고
있다. 이와 같이 자연물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드레스는 관찰자로 하여 자신의 경험과 지식 속에
되어 있는 유사한 이미지를 연상하게 유도하
, 이는 심상의 바탕이 되어 자연물을 자연스
식되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디자이너의 자연에 대한
정신세계가 반영되어 탄생 하나의 새로
연이라고 있다.
3. 실제적 표현과 은유적 표현이 절충되어 나타나
혼성적 표현의 헤드 드레스
표현과 은유적 표현이 되어 나타나는
표현의 헤드 드레스는 자연의 본질적인 형태와 은유
적으로 변형된 형태가 서로 합하 헤드 드레스에
의미한다. 정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성적 표현
헤드 드레스는 8.6% 나타으며, 헤드 드레스의
성적 표현을 위한 기법은 자연물의 본질적 형상과 추상
적인 표현의 (4.6%)하거나, 자연물의 본질적 형상과
자연물의 실루 입체적 또는 면적인 형태로 가시
화한 것과의 접목(4.0%) 통한 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자연물의 본질적 형상과 추상적인 표현의
이다. 대표적인 예를 살펴보면, Basso & Brooke 2006
S/S에서 <Fig. 30> 같이 장미꽃과 함께 형형색색
쉬폰 소재에 다량의 가미하여 꽃의 모양을
과장되게 형상화하였다 . 또한 , 2009 S/S에서 Seduzioni
Diamonds<Fig. 31>처럼 연두 상의 쉬폰 소재를 통한
모자 위에 상의 접목하거나, Jean Paul
Gaultier 2014 S/S<Fig. 32> 같이 블랙 화이트
소재로 작된 헤드 드레스의 전면부에 동일한 상을
함양한 치함으로써 마치 뭇잎이나
위에 있는 연출하였다. Ashley Isham
2011 F/W에서 <Fig. 33> 같이 문양이 겨진
소재 위에 흰색 꽃을 치였으며, Alexan-
der McQueen 2006 F/W에서 <Fig. 34>처럼 화이트
슴뿔 자수가 흰색 투명 소재를
규칙적으로 감은 헤드 드레스를 선보였다 . 이와 같이
투명 소재의 물성을 활용하는 것은 내부에 존재하
자연물의 형상을 하고 모호하게 나타
으로써 마치 안개 속에서 자연의 형상물이 나오는
비롭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내었다고 있다.
둘째, 자연물의 본질적 형상과 추상적인 표현의 접목
이다. 대표적인 예를 살펴보면, John Galliano 2007 S/S
에서 <Fig. 35> 같이 과장된 형태감이 보이는
상의 꽃과 소재의 구조적 조합을 통한 입체적인
형태의 모자를 표현하였는데, 주변으로 얽혀있는
Fig. 26. John Galliano,
2007 S/S (II).
From Paris - 2007 S/S
John Galliano. (2006b).
http://www.samsungdesign.net
Fig. 27. House of Holland,
2008 F/W.
From London - 2008 F/W
House of Holland. (2008).
http://www.samsungdesign.net
Fig. 28. Anna Sui,
2012 F/W.
From New York - 2012 F/W
Anna Sui. (2012).
http://www.samsungdesign.net
Fig. 29. Jean Paul
Gaultier, 2010 F/W.
From Paris - 2010 F/W
Jean Paul Gaultier. (2010).
http://www.samsungdesign.net
754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과 미적 가치 165
소재는 꽃의 줄기를 추상적으로 표현한 결과물이라
있다. Alexander McQueen 2008 F/W에서는
작새를 형상화한 헤드 드레스<Fig. 36> 선보였는데,
공작새의 털의 실루 입체적인 형태의 앙상한
형상을 구조물로 표현함으로써 생명력
버린 자연의 어두 분위기를 자아내었다 . 또한, 2009
S/S J Smith Esquire 소재로 형상화된 타원형의
조형물을 두상에 치하고, 주위로 방사형으로 퍼진
새의 털을 내부로 헤드 드레스<Fig. 37>
연출하였는데, 마치 속에서 새의 보호하고
있는 지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다.
이상의 사례 고찰을 통하여 성적인 표현의 헤드
레스는 자연물의 본질적 형상과 추상적인 표현의
하거나, 자연물의 실루 입체적 또는 면적인 형태
가시화한 것과의 접목의 기법을 표출된다고
. 이와 같은 여러 표현 기법들의 접목은 적인
모호한 , , 자연의 본질적 규칙에서 정화된
자연과 작가의 해석적 규칙에서 고유의 의미를
도시키는 변형된 자연을 동시에 수용함으로써
반된 개념들의 합에서 형성되는 외형적 표현의 다양
성을 부여하며 , 예술적인 이미지를 대화시키는
자아다고 있다.
이상의 표현 유형에 따라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드레스의 다양한 표현 기법들은 인간과 공존해
연의 다양한 요소들을 통하여 독창적이고 새로 디자
인을 창조하고자 하는 디자이너의 창조적 의지가 외적
으로 표출된 것이며, 과적으로 대중들에게 자연
외적 ·내적 의미를 있는 자의 역할을
한다고 있다.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
스의 세부적인 표현 기법에 대하여 표로 정리해 보면
<Table 1> 같다.
V.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미적 가치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는 자연에 대한
Fig. 30. Basso & Brooke,
2006 S/S.
From London - 2006 S/S
Basso & Brooke. (2005).
http://www.samsungdesign.net
Fig. 31. Seduzioni
Diamonds, 2009 S/S.
From Milano - 2009 S/S
Seduzioni Diamonds. (2008).
http://www.samsungdesign.net
Fig. 32. Jean Paul
Gaultier, 2014 S/S.
From Spring/Summer 2014 Haute
Couture Jean Paul Gaultier. (2014).
http://runway.vogue.co.kr
Fig. 33. Ashley Isham,
2011 F/W.
From London - 2011 F/W
Ashley Isham. (2011).
http://www.samsungdesign.net
Fig. 34. Alexander
McQueen, 2006 F/W.
From Paris - 2006 F/W
Alexander McQueen. (2006).
http://www.samsungdesign.net
Fig. 35. John Galliano,
2007 S/S (III).
From Paris - 2007 S/S
John Galliano. (2006c).
http://www.samsungdesign.net
Fig. 36. Alexander
McQueen, 2008 F/W.
From Paris - 2008 F/W
Alexander McQueen. (2008).
http://www.samsungdesign.net
Fig. 37. J Smith Esquire,
2009 S/S.
From London - 2009 S/S
J Smith Esquire. (2008).
http://www.samsungdesign.net
755
166 한국의류학회지 Vol. 40 No. 4, 2016
패션 디자이너의 정신세계관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있는 형성체로써 자연이 자아내는 다움과
감성을 대중들에게 하는 의사소통의 도구적
수행한다고 있다.
정성적인 고찰을 통하여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미적 가치는 첫째, 원시성을 나타다고
있다. 원시란 동아새국어사전 [Dong-A new Korean lan-
guage dictionary](2005) 의하면자연 그대로 있어
보나 변화가 ”(p. 1785) 의미하는 것으로
Roland Barthes 원시성을 신화의 어에 유하여
하지 (Antliff & Leignten, 1996)라고 하였는데,
이는 대상의 본질을 의미하는 것이다. Im(2003)
의하면 , , 생명, 자연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원시는 인간의 심상 깊숙 존재하는 본질적인
고이자, 수와 생명 추구하고자 하는 마음이라고
였다. 또한, Kim(2010b) 의하면 인간이 원시로
하고자 하는 일련의 행위들은 사회에 물들지
자연 그대로의 인간성 대한 열망이자,
본질 바탕을 의미하는 원시의 수성으로 아가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 Kim and Ha(1993)
의하면 물질문 과도한 인해 경오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자연의 상태
럽혀지지 그대로 보존되는 원시적 이상
이라고 하였으며, 이는 자연 그대로의 성질을 의미하
자연성과 맥락 함께 한다고 하였다. , 원시성
원시의 수한 자연으로 하고자 하는 인간의
질적인 사고에 기인하는 것이며, 이는 물질문 구속
인간에게 자유를 부여함으로써 적이고 본질적인
자연의 상태로의 인간으로 하는 것이라고
.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에 나타난 원시
성은 <Fig. 3>, <Fig. 5> <Fig. 6>–<Fig. 7> 같이
그대로의 자연물을 구현하거나, <Fig. 9>, <Fig. 11>
<Fig. 13>, <Fig. 15>처럼 자연물을 구성하는 부분적
소들을 차용함으로써 표출되었는데, 이는 원시 자연의
수한 이미지를 표출함과 동시에 본질적인 형태에서 자아
내는 자연의 생명감을 그대로 느낄 있다 . 또한 , 관찰
자로 하여 적인 자연의 근원적 감성의
계를 깨워주며, 물욕의 에서 어나 원시적
에서의 수한 인간으로의 관념적 유도한다고
있다.
둘째, 성이다. 동아새국어사전 [Dong-A new
Korean language dictionary](2005) 의하면즐겁 ,
또는 ” (p. 1820) 의미하는 것으로 Ha(1994)
의하면 지함보다는 움을 추구하는 관찰자
하여 라움, , 월감 등을 느끼 해서
자아내며, 자체로 것이며, 현실에서
나기 위한 하나의 수단, , 자유를 갖는 것이라고 하였
. Kim(2012c) 의하면 현대 사회에서 크게 표출되는
물질적인 요의 이면에 존재하는 현대
인들의 스트레스와 감을 해소하고자 하는 일련의
위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독일의 미학자 Karl Groos(as
cited in Caillois, 1958/1994) 의하면 인간을 자유
만드는 활동이며, 미학적 성에 기인하는 예술과의
관련이 있다고 하였으며, Kant 인간의 상상
오성(悟性) 합을 어내는 개의 역할을
, 질서가 성되고, 이로 인해 새로 창조가
일어나면서 예술이 형성된다(Park, 2011) 하였다 . ,
성이란 인간에게 거움을 주는 것으로 인간의
Table 1. Expression techniques of head dress reflected natural motif (N=374)
Category Percentage Expression techniques Percentage
Realistic expression 52.4
The reproduction of a natural object's essential form 27.0
The partial derivation of the natural object 19.3
The planarization for the actual image of the natural object 06.1
Metaphorical expression 39.0
The emphasis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e 18.2
The structuration of the natural object's silhouette into a three-
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form 11.5
The abstract expression of the form in the natural object 09.3
Hybrid expression 08.6
The compromise between the natural object's essential form and
the abstract expression 04.6
The combination of the natural object's silhouette into a three-
dimensional or a two-dimensional visualization 04.0
756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과 미적 가치 167
연에 내재하고 있는 가장 적이고 적인 욕구의
하나이며, 인간의 이성과 감성을 조화시키고, 이를 통해
창출된 예술은 현실의 구속성으로부터 어나 자유
지를 실현하기 위한 대안적 세계라고 있다. 자연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성은 <Fig. 3>
<Fig. 4> 같이 자연물의 직임에서 나타나는 역동적
형태감을 강조하거나, <Fig. 28><Fig. 29> 같이
자이너의 재해석을 통하여 자연물의 독특한 특성을
머러스하게 부각시으로써 표출되었다. 이는 자연에서
스스로 하는 면과 디자이너의 주관성이
개입된 면을 보여준다고 있으며, 인간
에게 자유와 해방감을 가져다주는 자연, 존재 자체로
거움을 유발하는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라
있다.
셋째, 추상성이다. Oh(2003) 의하면 추상이란
‘Abstrahere’에서 것으로 , 이는 대상을
구성하는 전체적인 요소 부분은 (截取)
하고, 부분은 추출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Cho
(2011) 연구에서는 Aristoteles Plato 추상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개념을 덧붙이거나 가지
상반된 행위로 인하여 표출되는 것으로
법적 방법을 가리다고 하였다. 또한,The New Ency-
clopaedia Britannica(as cited in Han, 2011)에서는 추상
미학적 개념에 대해표상에서 공통되는 면이나
질을 아내서 사유의 대상이 되는 정신 작용또는
속성이나 특성을 추출하여 파악하는 심적 작용”(p.
6) 뜻한다고 하였다. , 추상성이란 본질적인
대상을 중심으로 인간의 사유에 의한 추출을
하여 구체적인 사물의 표상이 배제 애매모호한 상태
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다고
있다.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추상
성은 <Fig. 18>, <Fig. 20> 같이 자연물의 상이나
상을 적으로 수용하여 과장되게 강조 또는 재해석
하거나 <Fig. 34>, <Fig. 37>처럼 자연물이 함양하고
특유의 분위기를 소재의 물성과 치시 표출되었
는데, 이는 자이너의 표현 의도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있으며, 이를 통해 창출된 연적 과는 각각의
이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관찰자의 선험적 사유에
부여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보다 다양한 감성을 체험
하도 한다고 있다.
넷째, 성이다. Joo and Jeon(2014) 의하면 포스
트모더니즘 시대의 인하여 서로 상이한 분야
교류를 통해 합하고, 조화 산하고자 하는
특성이 나타다고 하였으며, Yang and Yang
(2000) 속성 따위가 서로 반대되거나 되는 테제
조정, 합시키는 방법으로 해석하였는데, 이질적인
체계의 구성물들이 합되어 이전과 새로 이미
지가 창출되고 , 의미가 산되는 것으로 이는 다양성
용에 의해 기존의 이미지와 가치에 변화를 가져온
다고 하였다 . 또한 , Shin(2002) 의하면 여러 문화의
타일들이 합되어 경계와 구분이 모호해지는 것을
미하기보다는 대조와 결합 간에 존재하는 경계를
인지한 병치에서 오는 스타일의 합을 의미한다
하였으며, Na(2001) 의하면 특정 체계나 사고
편향 시각에서 어나 다양한 근원으로부터 이로
것들을 적으로 아들이는 기술이나 주의, 또는
이라 정의하면서 예술에서의 범위한
원으로부터 스타일 합을 뜻한다고 하였다. 다시
해서, 성이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대표하는
성의 하나로 서로 체계에 존재하는 여러 요소들이
서로 합되거나 병치되어 기존의 이미지와 가치에
화를 가져오는 것이며, 예술에 있어서 새로
하는 하나의 표현 방식을 뜻한다고 있다.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성은 <Fig. 27>
같이 서로 자연물의 병치하거나, <Fig. 25> 같이
자연과 러지의 합을 통하여 표출되었다 . 또한 ,
<Fig. 32>, <Fig. 36> 같이 서로 상반된 표현 방법의
에서 나타난다고 있는데, 이와 같이 서로 상이
것들을 합하는 일련의 행위들은 기존에 정형화되
개념들을 탈피하여 , 모든 영역 또는 요소들
간의 공존을 하는 것이라고 있다. 이를 통해
창출된 결과물은 새로움 추구하는 패션의 속성
부합하는 결과라고 있으며, 이는 디자이너의
열린 사고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있다. 이와 같이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과
가치 간의 상관관계를 정리해 보면 <Fig. 38> 같다.
VI. 결론
자연은 인간에게 한한 영감을 주는 형태의 보고(
)이며, 현대의 패션 디자이너들은 자연에 대한 창조적
사유와 다각적인 해석 방법을 통하여 현실의 세계에
체적으로 표상화함으로써 대중들에게 자연에 대한
인식을 어내고, 미적 가치를 감응할 있는
기회를 공하고 있다. 연구는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 미적 가치를 고찰한
757
168 한국의류학회지 Vol. 40 No. 4, 2016
으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자연적 모티프의 표현 유형에 따라 헤드 드레스에
타난 자연적 모티프의 표현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의 형상이 사실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현의 유형(52.4%)으로 표현 기법은 자연물의 본질적
상의 재현 (27.0%), 자연물의 부분적 차용 (19.3%), 자연물
이미지를 통한 면화(6.1%) 나타. 둘째,
자연물의 형상을 재해석하여 간접적인 형태로 나타내
은유적 표현 유형(39.0%)으로 표현 기법은 자연의
태적 특성의 강조(18.2%), 자연물의 실루 입체적
면적인 형태로 구조화(11.5%), 추상적으로 자연물
형상을 표현(9.3%)으로 표출되었다 . 셋째 ,
현과 은유적 표현이 되어 나타나는 성적 표현의
유형(8.6%)으로 표현 기법은 자연물의 본질적 형상과
상적인 표현을 (4.6%)하거나, 자연물의 실루
체적 또는 면적인 형태로 가시화한 것과의 접목(4.0%)
으로 나타. 이와 같이 헤드 드레스에 자연적 모티프
표출하기 위한 다양한 표현 기법들은 자연에 대한
관찰과 본질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자연이 함양하고
있는 미적 가치 자연에 대한 시대적 이데
로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대중들과 함께 이를 공유하고
자하는 패션 디자이너의 노력 (根底) 내포되어
있다고 있다.
이러한 사례 고찰을 통해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드레스의 미적 가치는 첫째, 원시성이다. 원시성이란
변하지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 하고자
으로 표출되는 것으로 본질 그대로의 자연은
자체에서 자아내는 수한 이미지를 통해 적인
원시 자연의 근원적 감성을 하며, 수한
간으로의 관념적 유도한다고 있다. 둘째,
성이다. 성은 인간 본연에 내재하고 있는
적인 욕구인 거움을 표출하는 것으로 디자이너의
관성이 개입된 자연과 자연의 동감에서 표출되는
통하여 인간에게 자유와 해방감에서 오는 거움
가져다주었다고 있다. 셋째, 추상성이다. 추상
성은 본질적인 대상의 추출을 통하여
모호한 상태로 하는 것으로써 패션 디자이너의
재해석을 통하여 은유적으로 표현된 자연은 관찰자의
심미적 사유에 자유를 부여함으로써 다자이너의 자연
자연의 감성을 느끼 해준
다고 있다. 넷째 , 성이다. 성은 적으
존재하는 서로 요소들을 서로 리게
Fig. 38.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techniques and aesthetic values of head dress reflected on natural motif.
758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과 미적 가치 169
합하거나 병치하여 새로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상이한 물성 표현 방법들의 접목을 통하여 형상
화된 자연은 기존의 자연물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 낯설음에서 오는 새로움 , 새로 가치를 함양한
자연을 창출한다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헤드 드레스에 자연을
현하고자 하는 패션 디자이너들의 창조적 활동들은
연을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는 물리적인 존재,
또는 변하지 본질적 대상으로 수함을 내포하고
있는 이념적 존재로써 인식하고, 이를 헤드 드레스라는
하나의 상징적인 기호로 표상화하기 위함이라
. 이는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간에게 자연의
근원적인 존재로써의 자신을 성찰해 있는 계기가
버린 인간성을 회복할 있는
회를 공한다고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메이
크업, 헤어스타일, 이미지 헤드 드레스
연관성을 갖는 다양한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하는 연구 다양한 예술 분야에 적용되고
자연적 모티프에 대해 점을 추어 분석하는
적인 후속연구도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References
Ahn, B. K. (2003). 패션전문용어의 이해 [Understanding of fa-
shion terminology]. Seoul: Kyungchoonsa.
Antliff, M., & Leignten, P. (1996). Primitive. In R. S. Nelson
& R. Shiff (Eds.), Critical terms for art history (pp. 170–
183).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Brain. (2016). Doopedia. Retrieved April 8, 2016, from http://
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
view&MAS_IDX=101013000729167
Caillois, R. (1994). 놀이와 인간 [The play and human] (S. R.
Lee, Trans.). Seoul: Moonye Publishing Co. Ltd. (Origi-
nal work published 1958)
Cho, Y. H. (1973). 예술철학 [The philosophy of art]. Seoul:
Kyungmoon Publishers.
Cho, Y. K. (2011). Aristotle's abstraction as a conceptual ana-
lysis. Philosophical Studies, (44), 1–41.
Eun, S., & Park, J. O. (2011). A study on naturalism in fash-
ion from 1980 to 2009 - Focus on content analysis of
Vogue magazine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259–1271.
Fall/Winter 2011 Ready To Wear Moschino. (2011). VOGUE
KOREA. Retrieved January 7, 2016, from http://runway.
vogue.co.kr/2011/03/23/ready-to-wear-2011-fw-moschino/
#0:42
Fall/Winter 2014 Ready To Wear Fashion East. (2014). VOG-
UE KOREA. Retrieved January 7, 2016, from http://run-
way.vogue.co.kr/2014/02/19/ready-to-wear-2014-fw-fashio
n-east/#0:43
Fall/Winter 2015 Ready To Wear A.F. Vandevorst. (2015). VO-
GUE KOREA. Retrieved January 7, 2016, from http://run
way.vogue.co.kr/2015/03/06/ready-to-wear-2015-fw-a-f-va
ndevorst/#0:0
Fashion dictionary editorial committee. (1999). Fashion dict-
ionary. Seoul: Gyomoon Publishers.
Ha, J. (1994). 현대 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Amusement ex-
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2, 71–83.
Hahn, S. W., & Kim, Y. I. (1999). Ecological image in fashion
during the early period of 199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2), 296–306.
Han, K. (2011). A study on ABSTRACTION in contemporary
fashion & costume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
tion, Hongik University, Seoul.
Im, K. (2003). A study on the potential primitive in modern
illustr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
sity, Seoul.
Im, M. J., & Lee, S. N. (2013). Formative characteristic of in-
sect motif expressed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Digi-
tal Design, 13(4), 373–383.
Joo, S., & Jeon, J. (2014). A study on the vernacular designs
in modern fashion-Focused on Korean design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6), 796
–809. doi:10.5850/JKSCT.2014.38.6.796
Kang, J. H. (2010). A study on naturalism and fashion designs
using bamboo motif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
shion Design, 10(4), 83–96.
Khajeh, M., Payvandy, P., & Derakhshan, S. J. (2016). Fashion
set design with an emphasis on fabric composition using
the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Fashion and Textiles, 3
(8). doi:10.1186/s40691-016-0061-1
Kim, B. K., & Lee, J. K. (2008). A study on wall image of
commercial space using nature as a motive - Focused on
expression using wood as materia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3(3), 71–80.
Kim, E. S., & Chung, J. I. (2014). A study on the organic rel-
ationship of between fashion and headdress in Toni &
Guy's design-Focus on design elements of line, shape and
for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
(2), 197–206.
Kim, H. Y., & Kim, Y. I. (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
tics of naturalism in fashion design with the changes of
ti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7),
31–41.
759
170 한국의류학회지 Vol. 40 No. 4, 2016
Kim, K. H. (2003).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gable head-
d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
tiles, 27(3/4), 333–342.
Kim, K. H., & Mon, Y. K. (2006).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men's headgear - Focusing on bonnets & hats -. The Jo-
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4(1), 11–18.
Kim, M. G., & Lee, M. H. (2011). A study on image percep-
tion according to wedding headdress, hairstyle, and neck-
lin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5),
981–992.
Kim, M. J., & Ha, J. (1993). Primitivism expressed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1, 193
–206.
Kim, S. Y. (2010a).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floral images
in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8), 1–14.
Kim, S. Y. (2010b). Type of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primitivism in 21
st
century fashion. The Research Jour-
nal of the Costume Culture, 18(2), 229–244.
Kim, S. Y. (2012a). Characteristics of the animal motif found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
mics Association, 50(5), 39–49. doi:10.6115/khea.2012.5
0.5.039
Kim, S. Y. (2012b). Deconstructive features of headdress found
in Jean Paul Gaultier's col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5), 489–500. doi:10.
5850/JKSCT.2012.36.5.489
Kim, S. Y. (2012c). A study of cut-out designs in contem po-
rary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
ture, 20(1), 36–48.
Kim, Y. H., & Ryu, J. U. (2009). 다윈 코드 [Darwin code].
Seoul: Nexus Publishers.
Kim, Y. M., Kim, J. H., & Kim, Y. S. (2015). 현대 패션에 나타
헤드 드레스의 미적 특성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ead dress in contemporary fash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Spring Confer-
ence, Korea, 172.
Lee, E. S., & Kim, M. J. (2013). The effects of culture, wed-
ding makeup, and head dress on bride's image percep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1(6), 907
–920. doi:10.7741/rjcc.2013.21.6.907
Lee, K. H. (Ed.). (2001). Introduction to design. Seoul: Yurim-
munwhasa.
Lee, S. A., Hong, E. H., Yoon, J. W., & Lee, Y. H. (2010). Knit
design inspired by Yann Arthus-Bertrand's works - Based
on the concept of naturalism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2), 277–289.
Lee, Y. M., & Lee, Y. H. (2006). Fashion design of denim ins-
pired by the butterfly motif-Based on the concept of nat-
urali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3), 412–424.
Leitch, L. (2015, March 6). Fall 2015 ready-to-wear A.F. Van-
devorst. VOGUE. Retrieved March 13, 2016, from http://
www.vogue.com/fashion-shows/fall-2015-ready-to-wear/a
-f-vandevorst
London - 2006 S/S Basso & Brooke. (2005).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
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90&an=16
&ItemIdx=97&DesignerIdx=1344
London - 2008 F/W House of Holland. (2008). SDN. Retrie-
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41&an
=26&ItemIdx=142&DesignerIdx=2610
London - 2009 S/S J Smith Esquire. (2008).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
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28&an=28
&ItemIdx=168&DesignerIdx=3310
London - 2010 F/W Topshop Unique. (2010a).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
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29&an=33
&ItemIdx=217&DesignerIdx=4856
London - 2010 F/W Topshop Unique. (2010b).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
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27&an=33
&ItemIdx=217&DesignerIdx=4856
London - 2010 S/S Aminaka Wilmont. (2009).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
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32&an=31
&ItemIdx=206&DesignerIdx=4230
London - 2010 S/S Bernard Chandran. (2009a). SDN. Retrie-
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45&an
=31&ItemIdx=206&DesignerIdx=4231
London - 2010 S/S Bernard Chandran. (2009b). SDN. Retrie-
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23&an
=31&ItemIdx=206&DesignerIdx=4231
London - 2010 S/S Headonism. (2009a). SDN. Retrieved Jan-
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
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2&an=31&Ite
mIdx=206&DesignerIdx=4232
London - 2010 S/S Headonism. (2009b). SDN. Retrieved Jan-
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
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29&an=31&I
temIdx=206&DesignerIdx=4232
London - 2011 F/W Ashley Isham. (2011). SDN. Retrieved Ja-
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
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26&an=41&
760
자연적 모티프가 반영된 헤드 드레스의 표현 기법과 미적 가치 171
ItemIdx=255&DesignerIdx=6660
London - 2011 F/W Pam Hogg. (2011). SDN. Retrieved Jan-
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
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26&an=41&I
temIdx=255&DesignerIdx=6714
London - 2012 S/S Elisa Palomino. (2011). SDN. Retrieved Ja-
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
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19&an=45&
ItemIdx=282&DesignerIdx=7715
London - 2014 F/W Sorapol. (2014).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tion/
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4&an=68&ItemId
x=404&DesignerIdx=13100
Longman advanced American dictionary: The Dictionary for
Academic Success. (2008). Harlow: Pearson Education Li-
mited.
Milano - 2009 F/W Agatha Ruiz de la Prada. (2009).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
sign.net/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
=4&an=29&ItemIdx=190&DesignerIdx=3677
Milano - 2009 F/W Simonetta Ravizza. (2009). SDN. Retrie-
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0&an=
29&ItemIdx=190&DesignerIdx=3751
Milano - 2009 S/S Seduzioni Diamonds. (2008). SDN. Retrie-
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13&an
=28&ItemIdx=166&DesignerIdx=3093
Na, H. S. (2001). Historical eclecticism of fashion - Concentra-
ting on the 19th century and 20th century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New York - 2009 F/W Diane von Furstenberg. (2009).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
sign.net/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
=33&an=29&ItemIdx=191&DesignerIdx=3499
New York - 2010 F/W Betsey Johnson. (2010). SDN. Retrie-
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28&an
=33&ItemIdx=213&DesignerIdx=4763
New York - 2012 F/W Anna Sui. (2012). SDN. Retrieved Jan-
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
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 age=8&an=49&Ite
mIdx=293&DesignerIdx=8304
New York - 2012 S/S Imitation of Christ. (2011). SDN. Retrie-
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16&an
=45&ItemIdx=280&DesignerIdx=7458
Oh, K. S. (2003). 추상미술의 이해 [Understanding of abstract
art]. Paju: ILJI Inc.
Papanek, V. (1993). Design for human scale (2nd ed.) (D. R.
Han & H. M. Lee, Trans.). Seoul: Miji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3)
Paris - 2006 F/W Alexander McQueen. (2006). SDN. Retrie-
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59&an
=18&ItemIdx=105&DesignerIdx=1618
Paris - 2007 S/S John Galliano. (2006a). SDN. Retrieved Jan-
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
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48&an=20&I
temIdx=113&DesignerIdx=1881
Paris - 2007 S/S John Galliano. (2006b). SDN. Retrieved Jan-
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
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58&an=20&I
temIdx=113&DesignerIdx=1881
Paris - 2007 S/S John Galliano. (2006c). SDN. Retrieved Jan-
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
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54&an=20&I
temIdx=113&DesignerIdx=1881
Paris - 2008 F/W Alexander McQueen. (2008). SDN. Retrie-
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Col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15&an
=26&ItemIdx=145&DesignerIdx=2718
Paris - 2008 S/S Alexander McQueen. (2007).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
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7&an=24&
ItemIdx=135&DesignerIdx=2311
Paris - 2009 F/W Andrea Crews. (2009). SDN. Retrieved Jan-
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
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7&an=29&Ite
mIdx=192&DesignerIdx=3862
Paris - 2010 F/W Jean Paul Gaultier. (2010).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
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59&an=33
&ItemIdx=224&DesignerIdx=5174
Paris - 2010 S/S Bernhard Willhelm. (2009). SDN. Retrieved
Jan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
lection/New_source_FullScreen.asp?curImage=0&an=31&
ItemIdx=208&DesignerIdx=4425
Paris - 2014 F/W Thom Browne. (2014). SDN. Retrieved Jan-
uary 5, 2016, from http://www.samsungdesign.net/Collec-
tion/ForMen/rDesignerListImage.asp?an=69&ItemIdx=40
3&Item=Paris&year1=2014&season=fw&Designeridx=12
593&Designer=&rYear=2014&rSeason=fw&rItem=Paris&
rSex=Men&rDesigner=Thom+Browne
Park, H. R. (2006). A study on metallic molding through geo-
metric expression - Focused on natural image -. Unpubli-
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Park, S. Y. (2013). The study on fashion illustration by apply-
761
172 한국의류학회지 Vol. 40 No. 4, 2016
ing characteristics of late-gothic portrait-Focused on the
decorative representation of the head dresses-. Unpubli-
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Park, W. M., Kim, E. S., & Bae, S. J. (2013). Aesthetic char-
acteristics of Stephen Jones' hat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4), 325–240.
Park, Y. Y. (2011). A study of work on amusement derived from
imag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Shin, J. Y. (2002). A study on the fusion image of modern fas-
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Singer, M. (2011, September 8). Spring 2012 ready-to-wear Imi-
tation of Christ. VOGUE. Retrieved February 15, 2016 from
http://www.vogue.com/fashion-shows/spring-2012-ready-t
o-wear/imitation-of-christ
Song, G. O. (2000). Color characteristics of black for fashion
color plan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
versity, Seoul.
Spring/Summer 2014 Haute Couture Jean Paul Gaultier. (2014).
VOGUE KOREA. Retrieved January 7, 2016, from http://
runway.vogue.co.kr/2014/01/23/haute-couture-2014-ss-jea
n-paul-gaultier/#0:35
Spring/Summer 2014 Ready To Wear Junya Watanabe. (2013).
VOGUE KOREA. Retrieved January 7, 2016, from http://
runway.vogue.co.kr/2013/10/07/ready-to-wear-2014-ss-jun
ya-watanabe/#0:49
Tolstoy, L. (1977). 예술이란 무엇인가 [What is art] (C. Lee,
Trans.). Seoul: Bumwoosa. (Original work published 1897)
Yang, H. Y., & Yang, S. H. (2000). A study on eclectic trend
expressed in the late 20th century's fashion-with the main
point of Andy Warhol's look-. Journal of the Korean So-
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4), 538–548.
Yang, S. Y. (2013). A study on the interior space design ten-
dency applied with using the nature el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Yang, S. Y., Kim, J. I., & Park, H. S. (2014). Study on the pre-
ference for natural motif-based interior textile products
according to their expression types - Centering on cushi-
ons -. Journal of Digital Design, 14(2), 683–692.
Yim, E. (2014). Tectonic strategies in architectonic fashion des-
ig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8(1), 164–181. doi:10.
12940/jfb.2014.18.1.164
Yoo, T. S., & Kim, J. H. (1999). Geographical classification of
the world folk headdress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
ciety for Clothing Industry, 1(3), 246–251.
Yoon, J. S., & Song, Y. S. (2012). Characteristics of maxim-
alism appeared on the headdresses of the 21st century. Jo-
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Cultural Arts, 1(1),
64–75.
동아새국어사전 (5) [Dong-A new Korean language dic-
tionary (5th ed.)]. (2005). Seoul: Doosan Dong-A.
762
ResearchGate has not been able to resolve any citations for this publication.
Article
Full-text available
Today, with increasing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their use to promote and accelerate artistic production trends as well as decreasing utilization of manual and traditional methods, the use of computers has had a special place in fashion design. The present research seeks to design a fashion system utilizing a set of fabric patterns through the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to produce artistic creativity and a set of clothes designs. First, clothes components, including top, crown, skirt, blouse, sleeve and shoes, and fabric patterns proportionate to each clothes component are designed and coded separately. This system combines clothes components and fabric pattern set, using the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and laws based on fashion design. Then, fitness of the designs created is determined by the user and next generations are produced by this fitness and evolution principles so fashion design trend is performed by the user’s opinion. The results of evolutions indicate system efficiency in fashion set design using a fabric pattern set at the least cost and shortest time according to user tastes.
Article
In the modern Society, the human`s way of thinking as well as the new cultural creation has been changing by bringing on a change rapidly. The moderns are demanding humanity and the new cultural cretion through the exchange between the old things and new things by setting material before everything else. The latest trends of today had an effect on the fashion Illustration, a new art category, which gives a new image. This report of research has a purpose which expresses korean images by connecting the korean tradition style to the modern fashion. And we are concerned about the national culture and tradition with the international stream. For this reason I studied these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expression area of sewing techniques by applying to fashion Illustration expressing handcraft techniques by natural beauty improving the modern and traditional images, updating, and succeeding to tradition. As the way of studying and contents, I referr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s literatures, these, publications, magazines, or the internet sufing. Firstly, as the theoretical study, I studied a conception and history of the fashion Illustration. I studi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ewing techniques through the histories, tools, and techniqu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ewing handicraft is studied through the colors, patterns, materials and sorts. I also and indicated the various works by the domestic designers.
Article
This work surveys the trend and dissolution characteristics in headdress that appear in Jean Paul Gaultier`s collection. Along with a related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903 headdress pieces shown in collections 40 times (excluding the common caps and hats) were analyzed, covering from 2001S/S to 2010 F/W of Jean Paul Gaultier`s Haute Couture and Pret-a-Porter. The headdress trend indicated in his collections was divided into such subgroup forms of folklore, usage of natural things, usage of artificial things, religion, retro, scarf, variations in headgear, mask and veil, atypical type and abstract. Such an expression tendency was so unique and mixed characteristic that it was hard to define its form and structure thanks to enlargement and exaggeration, extremity in ornaments, and use of foreign materials, which led to creative dynamics. Gaultier`s headdress also reflec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expression of difference indicative of time deconstruction; second, uncertainty of meanings via deconstruction; third, text interactivity via deconstruction of gender and material adopted; fourth, decentralization through dissolution of the Orient and the Occi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