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러한 위험 태도 경향은 위험, 확률적 모호성, 결과 모호성 등의 다양한 수준의 불확실성(Carmerer and Weber, 1992)이 각각 존재하는 상황에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난다(Di Mauro and Maffioletti, 2004;Ho, Keller and Ketyka, 2002;Hogarth and Einhorn, 1990;Kahneman and Tversky, 1979;Kocher, Lahno and Trautmann, 2018;Viscucci and Chesson, 1999 (Tversky and Kahneman, 1992;Viscucci and Chesson, 1999 (Tversky and Kahneman, 1992;Viscucci and Chesson, 1999 (Harinck et al., 2012;Tversky and Kahneman, 1992;Viscucci and Chesson, 1999), 일부 연구들은 불확실한 손실이 이미 발생한 손실을 상쇄할 가능성이 있을 때는 그 확률이 낮더라도 의사결정자가 위험 추구 태도를 취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Thaler and Johnson, 1990 (Mckenzie, Liersch and Yaniv, 2008;Önkal et al., 2003;Yaniv and Foster, 1997) (Anderson and Claxton, 1982;Camilleri and Larrick, 2014;Shen and Saijo 2009), 다른 연구들은 반대의 결과를 발견하거나 (Heinzle, 2012) 두 방법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기도 하였다 (Anderson and Claxton, 1982). 이러한 일관적이지 않은 결과들에 관해 일부 연구자들은 두 방법의 상대적 효과성이 친환경 제품과 일반 제품의 가격 차이의 크기에 달라질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하였는데 (Anderson and Claxton, 1982;Diekmann and Preisendörfer, 2003;Ferreira, Avila and de Faria, 2010) (Arkes et al., 2008;Atlas and Bartels, 2018;Chatterjee et al., 2000;Chu and Liao, 2010;Heath, Chatterjee and France, 1995;Lee and Yi, 2019;Lehenkari, 2009;Lim, 2006 (Saqib, Frohlich and Bruning, 2010;Taylor, 19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