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PDF Available

Effect of Microwave Irradiation on Exfoliation of Graphene Oxide

Authors:

Abstract and Figures

Graphene oxide has been synthesized by microwave-assisted exfoliation of graphite oxide prepared by modified Hummers method. Graphite was oxidized in a solution of and at , followed by 10 % solution treatment at . The graphite oxide was exfoliated under microwave irradiation of 1 kW and was reduced to graphene effectively by hydrazine hydrate () treatment. The exfoliation of graphene oxid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microwave irradiation on (heating)/off (cooling) period. An on/off period of 10 s/20 s resulted in much more effective exfoliation than that of 5 s/10 s with the same total treatment time of 10 min.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higher exfoliation temperature of 10 s/20 s. Repetition of the graphite oxidation and exfoliation processes also enhanced the exfoliation of graphene oxide. The thickness of the final graphene products was estimated to be several layers. The D band peaks of the Raman spectra of the final graphene products were quite low, suggesting a high crystal quality.
Content may be subject to copyright.
[논문] 한국재료학회지 http://dx.doi.org/10.3740/MRSK.2013.23.12.708
Kor. J. Mater. Res.
Vol. 23, No. 12 (2013)
708
마이크로파
조사가
산화그래핀의
화학적
박리에
미치는
효과
이재희
1
·황기
1,2
·정영훈
1
·김의
1†
1충남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과, 2에이비씨나노텍() 규소소재사업부
Effect of Microwave Irradiation on Exfoliation of Graphene Oxide
Jae-Hee Lee
1
, Ki-Wan Hwang
1,2
, Young-Hoon Jeong
1
and Eui-Tae Kim
1†
1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5-764, Korea
2
ABC Nanotech Co. Ltd., Yuseong-gu, Daejeon 305-500, Korea
(2013 10 10 접수: 2013 11 18 최종수정 : 2013 11 19 채택)
Abstract Graphene oxide has been synthesized by microwave-assisted exfoliation of graphite oxide prepared by modified
Hummers method. Graphite was oxidized in a solution of H2SO4 and KMnO4 at 65~80 oC, followed by 10 % H2O2 solution
treatment at 80~90 oC. The graphite oxide was exfoliated under microwave irradiation of 1 kW and was reduced to graphene
effectively by hydrazine hydrate (H4N2·H2O) treatment. The exfoliation of graphene oxid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microwave irradiation on (heating)/off (cooling) period. An on/off period of 10 s/20 s resulted in much more effective exfoliation
than that of 5 s/10 s with the same total treatment time of 10 min.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higher exfoliation temperature
of 10 s/20 s. Repetition of the graphite oxidation and exfoliation processes also enhanced the exfoliation of graphene oxide. The
thickness of the final graphene products was estimated to be several layers. The D band peaks of the Raman spectra of the
final graphene products were quite low, suggesting a high crystal quality.
Key words graphene, graphene oxide, graphite, microwave, exfoliation.
1.
그래핀은
궁극적으로
원자
층의
두께로
형성되기에
매우
비표면적
(2630 m
2
g
1
)
이에
따라
이론적으로는
550 Fg
1
매우
우수한
커패시터
특성을
가질
있어
슈퍼
커패시터
응용을
위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1-3)
근에는
이와
더불어
산화그래핀이
기저면에
붙어있는
기능그룹
(oxygen functional groups)
pseudo-capaci-
tance
효과에
의해
그래핀보다
슈퍼
커패시터의
전극재
료로
효과적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
그래핀
제조를
위해서는
흑연의
기계적
4,5)
또는
화학적
박리
,
6,7)
SiC(0001)
진공
열처리
,
8,9)
금속
기판
위에서
화학기상증착법에
10-12)
의한
제조기술
등이
개발되어져
.
이중에서
슈퍼
커패시터
응용을
위한
그래핀
또는
산화그래핀의
저비용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흑연의
화학
박리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흑연
화학적
박리는
H
2
SO
4
NaNO
3
, KMnO
4
용액에서
흑연
산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Hummers
법을
기초로
방법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
13)
산화그래핀
박리에
요한
열충격
(thermal shock)
주로
열처리로를
이용한
급속가열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
그러나
최근에는
이크로파를
이용한
가열법이
보다
효과적인
대안이
수도
있다는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
2,14)
마이크로파
기술을
화학
공정에
응용하면
재래식
가열
과는
구별되는
상이한
가열
특성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는데
, 1)
물체의
열전도도와
관하므로
물체의
내부까지
단시간에
가열할
있고
, 2)
복잡한
형태인
제품이나
파우더
제품
등을
균일하게
시키며
, 3)
재료를
선택적으로
가열할
있고
, 4)
가열이
가능하고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열기나
Corresponding author
E-Mail : etkim@cnu.ac.kr (E. T. Kim, Chungnam Nat'l Univ.)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
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마이크로파 조사가 산화그래핀의 화학적 박리에 미치는 효과 709
배기가스의
발생이
적어
산업현장
환경이
개선
가능하
, 5)
물질
내부에
침투해서
마이크로파가
열로
변화하
므로
가열
효율을
극대화
있는
장점이
있다
.
같이
마이크로파
가열
건조법은
가열
건조
도가
빠르고
선택적
건조
가열에
의한
에너지
효율
높기
때문에
공정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있을
아니라
장치가
간단하고
설치면적이
작아
대량생산
크게
유리할
있다
.
그러나
이러한
마이크로파
사에
의한
산화그래핀
박리는
최근의
결과로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마이크로파
조사
시간
,
등의
주요
변수에
대한
박리정도를
보여주는
연구결
과는
부족한
상태이다
.
연구에서는
습식공정을
이용한
Hummers
방법을
형시켜
산화흑연을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산화
그래핀으로
박리하기
위해
2.45 GHz
마이크로파를
조사
하였다
.
특히
마이크로파
조사
변수가
산화그래핀
박리
미치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
정된
마이크로파의
출력
하에서
마이크로파
조사
on/off
주기
,
전체
조사
시간
,
산화공정과
박리공정의
반복
횟수에
따른
산화그래핀
박리
정도를
조사하였다
.
2. 실험 방법
마이크로파
주파수는
2.45 GHz
이고
출력은
1kW
전자렌지의
전기
회로
전원
공급기를
개조하여
출력
가변이
가능하고
PID
방식으로
승온
속도
반응
온도를
자동
제어할
있는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를
Fig. 1
같은
형태로
제작하였다
.
마이크로파로
반응물
효율적으로
가열
합성하기
위하여
반응용기는
마이
크로
조사
장치
내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
이크로파
장치의
상단에
구멍
(
20 mm)
뚫어서
교반
삽입
마이크로파
조사
pH
측정
강산을
가적으로
유입시킬
있도록
하였다
.
흑연으로부터
산화그래핀
그래핀을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를
Fig. 2
나타내었다
.
사용된
흑연은
순도
99.0 %
입상흑연으로
평균입도
200
µ
m
크기를
가졌다
.
입상흑연을
산화시키기
위해
황산
(H
2
SO
4
, SAM, 99.0 %)
과망간산칼륨
(KMnO
4
,
JUN, 99.5 %)
사용하였다
.
상흑연
2g
황산
46 ml
첨가하여
65~80
o
C
가열하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
냉각기를
이용하여
흑연이
가된
황산용액을
15
o
C
유지시킨
과망간산칼륨
6g
천천히
첨가하며
1
시간
경과
석면
여과지를
이용
하여
여과
,
수세하여
갈색
산화흑연
슬러리를
얻었다
.
과된
산화흑연을
10 %
과산화수소용액
200 g
추가
가한
30
동안
80~90
o
C
에서
가열
다시
여과지
회수하였다
.
이후
산화흑연
슬러지로
부터
산화그래
핀으로
박리하기
위해
마이크로파가
조사되었다
.
이러한
산화과정
박리과정은
필요에
따라
1, 2, 3, 4
까지
반복수행
되었다
.
팽창
박리된
산화그래핀은
10 %
염산
용액에서
30
동안
교반하여
산화제의
잔유물들을
하고
부유물인
화그래핀을
선택적으로
러내었다
.
산화그래핀을
으로
라진
(H
4
N
2
·
H
2
O, KAN, 98 %)
용액으로
처리
하여
그래핀으로
환원시
.
이후
유기용매
(Butyl alcohol,
SAM, 99.0 %)
이용하여
차례
석시킨
여과과
정을
거쳐
200
o
C
에서
2
시간
동안
건조하여
결과물을
었다
.
샘플
박리형상은
장방출
주사전자현미경
(SEM:
Jeol
JSM 7000F)
사용하여
되어졌다
.
그래핀의
특성은
532 nm
이저
(0.5 mW)
사용한
마이크로
만분기로
분석하였다
.
3. 결과 고찰
마이크로파를
연속적으로
조사할
온도가
지속적으
Fig. 1. Schematic of microwave irradiation oven system.
Fig. 2. Synthesis flow chart of graphene oxide and graphene b
y
using microwave irradiation.
710 희·황완·정훈·김
상승하여
온도조
어려
박리를
효과적으로
어할
산화그래핀에
발생을
유발할
.
이에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파
조사를
on/off
주기
주어
반응물에
보다
균일한
가열효과를
있도
하였다
.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산화흑연으로부터
산화
그래핀
박리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있었다
. Fig. 3
흑연과
이를
황산과
과망간산칼륨
용액에서
산화
처리
마이크로파
조사를
통해
팽창시켜
박리한
화그래핀의
사진이다
.
안으로도
팽창이
되었
인할
있었으며
택이
있는
흑연에서
택이
산화그래핀
형상을
있다
.
흑연의
산화를
통해
그래핀의
층간간격이
증가하게
층간
π
-
π
작용
반데르발스
소시켜서
효과적으로
박리가
유도되는
결과를
얻을
있다
. Fig.
4
마이크로파
처리시간은
10
분으로
고정하고
마이
크로파
조사
on/off
시간을
각각
5
/10
(Fig. 4(a))
리고
10
/20
(Fig. 4(b))
변화를
주어
산화그래핀
리정도를
SEM
사진이다
.
처리시간
10
마이크로파가
조사된
시간은
200
초로
같지만
주기
on/off
5
/10
초인
경우가
10
/20
초에
비해
상대적으로
박리가
진행된
것을
있다
.
이는
on/
off
주기에서
마이크로파
조사로
지속
가열되는
시간이
5
초로
상대적으로
다보니
온도에서
박리가
행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Fig. 5
가지
산화그래핀을
박리하고
Fig. 3. Optical photos of graphite and graphene oxide product.
Fig. 4. Typic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s of exfoliated graphene by 10 min microwave irradiation with the on/off period
of (a) 5s/10s and (b) 10s/20s.
Fig. 5. Raman spectra of exfoliated graphene by 10 min microwave
irradiation with the on/off period of 5s/10s and 10s/20s.
마이크로파 조사가 산화그래핀의 화학적 박리에 미치는 효과 711
라진으로
환원시킨
그래핀의
라만
펙트럼
결과이다
.
샘플
전형적인
다층
구조의
그래핀
라만
트럼
보이고
있다
. 1585 cm
1
근처에서
강한
G
밴드
크를
있으며
2720 cm
1
에서도
2D
밴드
크를
있다
.
이와
더불어
1365 cm
1
근처에서
매우
D
밴드
크를
있다
. D
밴드
크는
sp
3
합구조나
bond-angle disorder,
등에
의한
포논
동에
의한
결과로서
발생된다
.
조사
주기
on/off
5
/10
초인
경우
D
밴드
크의
강도는
무시할
작은
반면
10
/20
초인
샘플
경우
유의미한
D
밴드
크를
있다
. G
밴드
크는
소의
sp
2
결합구
조의
포논
진동에
의한
결과이다
. 2D
밴드
크는
한한
크기와
격자결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서
치와
반가
등이
그래핀의
형성
층수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15,16)
또한
그래핀
층수는
2D
밴드
크의
G
밴드
크에
대한
상대
강도와도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10)
2D
밴드
G
밴드
상대강도가
2.3
이고
2D
밴드
크의
75 cm
1
매우
크며
모양
비대
것으로
루어
여층
이상의
두께
추정할
있다
.
그러나
SEM
결과와는
샘플에서
2D/G
상대강도
2D
밴드
크의
반가에서는
이를
었다
.
마이크로파
처리시간이
10
분인
샘플
주기
on/off
시간에
상관
완벽
박리에는
충분하지
것을
인할
있었다
.
이에
on/off
5
/10
초로
정하고
처리시간을
1
시간으로
증가시
.
또한
흑연
화와
마이크로파
조사
(1
시간
)
의한
산화그래핀
박리
정을
1, 2, 3, 4
회까지
반복하여
박리정도를
하였다
.
Fig. 6
산화와
박리공정을
1-5
회까지
반복하여
얻어진
산화그래핀
박리정도를
SEM
사진이다
. Fig. 6(a)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마이크로파
조사를
1
시간으로
가시킨
경우
10
(Fig. 4(a))
보다는
박리가
진행된
것을
있지만
층의
그래핀으로
박리가
진행되
지는
않았
.
이를
다시
산화처리
마이크로파
조사
반복한
샘플
1
처리에
샘플
비해
박리
진행된
것을
있다
.
산화와
이크로파
처리
반복
횟수를
3-5
회로
늘린
경우
박리
행과
더불어
표면이
하지
부산물들이
붙어있
것을
있다
.
Fig. 7
위의
산화와
박리를
1, 2, 3, 4
진행한
환원시킨
그래핀의
라만
펙트럼
결과이다
.
샘플
다층
구조의
그래핀
라만
펙트
결과
보이고
있다
.
가지
샘플
매우
D
밴드
크를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그래핀
결정에
결정
발생하지
것으로
판단된다
.
그러나
반복
수가
증가
따라
D
밴드
크의
강도가
점점
증가
하는
것으로
미루어
산화와
박리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또한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
또한
반복
횟수가
증가
따라
G
밴드
더불어
2D
밴드
크가
보다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있다
.
그러나
2D/G
Fig. 6. SEM images of exfoliated graphene prepared by repeats of graphite oxidation and exfoliation processes: (a) 1, (b) 2, (c) 3, (4)
4, and (5) 5 times. Scale bar represents 2 µm.
712 희·황완·정훈·김
대강도
2D
밴드
크의
반가
여층
두께의
래핀
으로
제조된
것을
보이고
있다
.
마이크로파
조사에
따른
산화그래핀
박리정도는
SEM
사진으로
이를
보다
명확
있는데
on/off
5
/10
초의
경우
조사
시간이
10
분에서
60
분으로
증가하고
산화와
박리
공정의
반복횟수가
증가
산화그래핀
박리되는
정도는
상되었으나
두께
여층
미만으로
소되지는
않았
.
이는
조사
on/
off
주기에서
지속적
조사시간
5
초는
산화흑연을
박리하
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시킬
었기
때문일
있다
.
히려
on/off
10
/20
초의
경우가
처리
시간이
10
에도
5
/10
초로
1
시간
처리된
샘플보다
과적으로
박리된
결과를
얻었다
.
따라서
만의
그래핀
제조를
위해서는
마이크로파
주기
on/off
화에
따른
체계적인
실험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4.
연구에서는
2.45 GHz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화학
박리법으로
산화그래핀
그래핀을
제조하였다
.
연은
Hummers
방법을
변형시킨
공정으로
황산과
과망
간산칼륨
용액에서
산화시켜
마이크로파
조사에
따른
화그래핀
박리
효과를
연구하였다
.
산화그래핀의
박리는
마이크로파
조사
on/off
주기에서
10
/20
초의
경우가
5
/10
초의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 On/off
주기
5
/10
초로
고정한
상태에서
마이크로파
처리시간을
증가시킬수록
박리효과가
커졌으며
산화와
박리
공정을
2
반복한
경우
매우
박리
효과를
있었
.
그러나
반복
횟수
3
이상에서는
효과를
보지
하였는데
이는
on/off
주기에서
지속적
조사시간
5
로는
산화흑연을
박리하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
시킬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효과적인
산화
그래핀
박리를
위해서는
마이크로파
처리시간도
요하지만
마이크로파의
지속적
조사시간이
영향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적으로
얻어진
그래핀
두께는
여층
이상이었으나
흑연의
산화조건
이크로파
조사조건이
최적화되면
두께의
우수한
품질의
그래핀도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마이크로파
조사
장치가
간단하고
하기에
산화
그래핀
그래핀
대량생산에
매우
유망한
제조법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
감사의
연구는
대학교
2011
학술연구비에
의해
원되었
.
References
1. M. D. Stoller, S. Park, Y. Zhu, J. An, and R. S. Ruoff,
Nano Lett., 8, 3498 (2008).
2. Y. Zhu, S. Murali, M. D. Stoller, A. Velamakanni, R. D.
Piner, R. S. Ruoff, Carbon, 48, 2118 (2010).
3. B. Xu, S. Yue, Z. Sui, X. Zhang, S. Hou, G. Caoa, and
Y. Yang, Energy Environ. Sci., 4, 2826 (2011).
4. K. S. Novoselov, A. K. Geim, S. V. Morozov, D. Jiang,
Y. Zhang, S. V. Dubonos, I. V. Grigorieva, and A. A.
Firsov, Science, 306, 666 (2004).
5. K. S. Novoselov, D. Jiang, F. Schedin, T. J. Booth, V. V.
Khotkevich, S. V. Morozov, A. K. Geim, Proc. Natl.
Acad. Sci. U.S.A., 102, 10451 (2005).
6. S. Niyogi, E. Bekyarova, M. E. Itkis, J. L. McWilliams,
M. A. Hamon, and R. C. Haddon, J. Am. Chem. Soc.,
128, 7720 (2006).
7. C. G. Navarro, R. T. Weitz, A. M. Bittner, M. Scolari, A.
Mews, M. Burghrd, and K. Kern, Nano Lett., 7, 3499
(2007).
8. G. M. Rutter, J. N. Crain, N. P. Guisinger, T. Li, P. N.
First, and J. A. Stroscio, Science, 317, 219 (2007).
9. C. Faugeras, A. Nerriere, M. Potemski, A. Mahmood, E.
Dujardin, C. Berger, and W. A. D. Heer, Appl. Phys.
Lett., 92, 011914 (2008).
10. A. Reina, X. Jia, J. Ho, D. Nezich, H. Son, V. Bulovic,
M. S. Dresselhaus, and J. Kong, Nano Lett., 9, 30 (2009).
11. X. S. Li, W. W. Cai, J. H. An, S. Kim, J. Nah, D. X.
Yang, R. Piner, A. Velamakanni, I. Jung, E. Tutuc, S. K.
Banerjee, L. Colombo, and R. S. Ruoff, Science, 324,
1312 (2009).
12. X. S. Li, W. W. Cai, L. Colombo, and S. Ruoff, Nano
Lett., 9, 4268 (2009).
13. W. S. Hummers and R. E. Offeman, J. Amer. Chem.
Fig. 7. Raman spectra of exfoliated graphene prepared by repeats
of graphite oxidation and exfoliation processes.
마이크로파 조사가 산화그래핀의 화학적 박리에 미치는 효과 713
Soc., 80, 1339 (1958).
14. G. Xin, W. Hwang, N. Kim, S. M. Cho, and H. Chae,
Nanotechnology, 21, 405201 (2010).
15. A. Dato, V. Radmilovic, Z. Lee, J. Phillips, and M.
Frenklach, Nano Lett., 8, 2012 (2008).
16. A. C. Ferrari, J. C. Meyer, V. Scardaci, C. Casiraghi, M.
Lazzeri, F. Mauri, S. Piscanec, D. Jiang, K. S. Novoselov,
S. Roth, and A. K. Geim, Phys. Rev. Lett., 97, 187401
(2006).
ResearchGate has not been able to resolve any citations for this publication.
Article
Full-text available
Graphene oxide, an intermediate during graphene synthesis by a modified Hummers's method, exhibits higher capacitance, up to 189 F g−1, than graphene due to an additional pseudo-capacitance effect of attached oxy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on its basal planes. Taking its higher capacitance, lower cost and shorter processing time into consideration, graphene oxide may be a better choice than graphene as an electrode material for supercapacitors.
Article
Full-text available
Graphene has been attracting great interest because of its distinctive band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Today, graphene is limited to small sizes because it is produced mostly by exfoliating graphite. We grew large-area graphene films of the order of centimeters on copper substrates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using methane. The films are predominantly single-layer graphene, with a small percentage (less than 5%) of the area having few layers, and are continuous across copper surface steps and grain boundaries. The low solubility of carbon in copper appears to help make this growth process self-limiting. We also developed graphene film transfer processes to arbitrary substrates, and dual-gated field-effect transistors fabricated on silicon/silicon dioxide substrates showed electron mobilities as high as 4050 square centimeters per volt per second at room temperature.
Article
We report a simple yet versatile method to simultaneously achieve the exfoliation and reduction of graphite oxide. By treating graphite oxide powders in a commercial microwave oven, reduced graphite oxide materials could be readily obtained within 1 min. Extensive characterizations showed that the as-prepared materials consisted of crumpled, few-layer thick and electronically conductive graphitic sheets. Using the microwave exfoliated graph- ite oxide as electrode material in an ultracapacitor cell, specific capacitance values as high as 191 F/g have been demonstrated with KOH electrolyte.
Article
High quality graphene was obtained though microwave irradiated expansion following a solution process. This method is facile, inexpensive, and produces usable results. Ultrathin, uniform graphene films were fabricated at room temperature by a vacuum filtration method. Combining carbon nanotubes (CNTs) as bridges between graphene flakes allowed the fabrication of high-performance conductive films for flexible applications, with conductivities and optical properties comparable to commercial ITO: 181 Ω sq − 1 at 82.2% transmittance after chemical treatment and doping. With future work, this versatile material could well provide an appropriate transparent electrode for flexible optical electronics.
Article
Large-area graphene growth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electronic devices. Recently,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of hydrocarbons has shown some promise in growing large-area graphene or few-layer graphene films on metal substrates such as Ni and Cu. It has been proposed that CVD growth of graphene on Ni occurs by a C segregation or precipitation process whereas graphene on Cu grows by a surface adsorption process. Here we used carbon isotope labeling in conjunction with Raman spectroscopic mapping to track carbon during the growth process. The data clearly show that at high temperatures sequentially introduced isotopic carbon diffuses into the Ni first, mixes, and then segregates and precipitates at the surface of Ni forming graphene and/or graphite with a uniform mixture of (12)C and (13)C as determined by the peak position of the Raman G-band peak. On the other hand, graphene growth on Cu is clearly by surface adsorption wher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12)C and (13)C follows the precursor time sequence and the linear growth rate ranges from about 1 to as high as 6 mum/min depending upon Cu grain orientation. This data is critical in guiding the graphene growth process as we try to achieve the highest quality graphene for electronic devices.
Article
In this work we present a low cost and scalable technique, via ambient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on polycrystalline Ni films, to fabricate large area ( approximately cm2) films of single- to few-layer graphene and to transfer the films to nonspecific substrates. These films consist of regions of 1 to approximately 12 graphene layers. Single- or bilayer regions can be up to 20 mum in lateral size. The films are continuous over the entire area and can be patterned lithographically or by prepatterning the underlying Ni film. The transparency, conductivity, and ambipolar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films suggest their potential as another materials candidate for electronics and opto-electronic applications.
Article
The surface area of a single graphene sheet is 2630 m(2)/g, substantially higher than values derived from BET surface area measurements of activated carbons used in current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capacitors. Our group has pioneered a new carbon material that we call chemically modified graphene (CMG). CMG materials are made from 1-atom thick sheets of carbon, functionalized as needed, and here we demonstrate in an ultracapacitor cell their performance. Specific capacitances of 135 and 99 F/g in aqueous and organic electrolytes, respectively, have been measured. In addition,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gives these materials consistently good performance over a wide range of voltage scan rates. These encouraging results illustrate the exciting potential for high performanc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based on this new class of carbon material.
Article
We describe monocrystalline graphitic films, which are a few atoms thick but are nonetheless stable under ambient conditions, metallic, and of remarkably high quality. The films are found to be a two-dimensional semimetal with a tiny overlap between valence and conductance bands, and they exhibit a strong ambipolar electric field effect such that electrons and holes in concentrations up to 1013 per square centimeter and with room-temperature mobilities of ∼10,000 square centimeters per volt-second can be induced by applying gate voltage.
Article
We report free-standing atomic crystals that are strictly 2D and can be viewed as individual atomic planes pulled out of bulk crystals or as unrolled single-wall nanotubes. By using micromechanical cleavage, we have prepared and studied a variety of 2D crystals including single layers of boron nitride, graphite, several dichalcogenides, and complex oxides. These atomically thin sheets (essentially gigantic 2D molecules unprotected from the immediate environment) are stable under ambient conditions, exhibit high crystal quality, and are continuous on a macroscopic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