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수준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경향이 있으며, 이는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과 전문성이 높은 직업을 갖는 경향으로 설명된다 (Bae, 2008;Uppal, 2005 (Colella, DeNisi, & Varma, 1997;Stone & Colella, 1996) (Kim & Ko, 2012;Markel & Barclay, 2009;Song, 2012),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2013;Yeum & Lee, 2014 (Blinder, 1973;Oaxaca, 1973 (Colella et al., 1997;Stone & Colella, 1996). Stone과 Colella(1996) Brooks, 2019;Uppal, 2005). 기존 연구의 방법 과는 달리 본 연구는 매개분석을 이용하였으 며, 이 방법은 변수들 간의 이론적인 연관성 을 연구하는데 더 적합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Baron & Kenny, 1986;Hayes, 2017 & Choi, 2017;Choi & Yeum, 2019;Han, 2020;Jeon, 2020;Joo & Han, 2010;Jun, Nam, & Ryu, 2011;Kang & Lim, 2017;Kim, 2011;Kim, 2013;Kim, 2017;Kim & Ko, 2012;Kim, Park, & Kim, 2014;Lee, 2009;Lee, 2014;Lee, 2018;Lee & Lee, 2007;Lee & Seo, 2014;Lee & Shin, 2019;Park, Hu, & Jung, 2011;Park & Kim, 2017;Park, Kim, & Kang, 2010;Park, Lee, & Lee, 2013;Park & Yang, 2013;Song, 2012;Yeum, Kim, & Baek, 2013;Yeum & Lee, 2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