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 948 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차 자료는 초등학교 5학년이 되는 시점이다. 분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APIM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항 꾸러미(item parceling), 최대우도법(ML)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부모애착에
... [Show full abstract]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부 애착,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모 애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부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교적응,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모 애착, 자아정체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배우자의 결혼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자녀가 지각한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al attachment of children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of parents and parental attachment, ego-resiliency,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Methods The study used a sample of 948 pair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who become a 5th grader in 12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9), and they were analyzed based on the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other’s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actor effect to parental attachment of their children. However, both mother’s an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ner effect to parental attachment of their children to each. Second, the actor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were appeared. Thir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through their attachment to fathers and ego-resiliency. In addition, children's ego-identity was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school adjustment with their attachment to fathers. Moreover, the same patter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ego-resiliency, ego-identity,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