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장에서 소비자가 쇼핑을 하는 행위는 상품 구매뿐만 아니라 미적 특성이나 정서적/쾌락적 즐거움을 얻고자 하는 측면이 있다 고 하는 것은 이미 여러 연구들 (Ahn & Lee, 2011;Babin et al., 1994;Bae, 2012;Bloch et al., 1994;Chae, 2017;Crowely et al., 1992;Min & Jang, 2022;Park et al., 2012) (Kim, 1996) 소비자는 자신이 지향하는 쇼핑 가치가 충족되었을 때만 향후에 지속적인 거래를 할 의도를 갖는다 (Moon, 2016 (Ahn et al., 2008), 점포충성도 (Park et al., 2012), 구매 의도 (Li & Moon, 2021), 점포에 대한 호의적 태도와 점포에 대한 감정적 반응 (Ahn & Lee, 2011 Babin 등(1994), Belk (1987), Fischer & Arnold (1990), Hirschman & Holbrook (1982), Kim과 Park (2002), Sherry (1990) (Batra & Ahtola, 1991;Engel et al., 1995;Sherry, 1990), 쾌락적 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는 좀 더 개인적이고 주관적이며, 과업 수행보다는 쇼핑의 잠재적인 즐 거움과 감정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긴다고 하였다 (Bellenger et al., 1976 (Darden & Reynolds, 1971). Yoo와 Kim (1994) (Cho, 2011;Kim, 2009 Other customers who use the store seem to harmonize with 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