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 uploaded by Yerang Yun
Author content
All content in this area was uploaded by Yerang Yun on Mar 23, 2015
Content may be subject to copyright.
J Korean Soc Food Sci Nutr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9), 1140
~
1147(2007)
다시마 첨가 배추김치의 체중 감량 및 지질 저하 효과
구화숙1․노정숙1․윤예랑1․김현주1․권명자1․최홍식2․송영옥1†
1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2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Hwa⁃Suk Ku1, Jeong⁃Sook Noh1, Ye⁃Rang Yun1, Hyun⁃Ju Kim1,
Myung⁃Ja Kwon1, Hong⁃Sik Cheigh2 and Yeong⁃Ok Song1†
1Dept. of Food Science & Nutrition, and Kimchi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609-735, Korea
2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Busan 613-806, Korea
Abstract
A recipe for diet kimchi containing 20% of sea tangle to Korean cabbage kimchi (SK) was developed for
weight reduction purpose. The fermentation process of SK s howed typical Lactobacillus sp. growth pattern
like other kimchis. The effects of SK on weight reduction was studied in high fat diet (HFD) fed rats (n=40).
Diet groups used for the animal study were HFD, HFD supplemented either with Korean cabbage kimchi used
as experimental control (HCK), or with SK (HSK), or with J⁃kimchi (JK) which was purchased at market
(FJK). The effect of kimchi on preventing obesity in rat fed HFD was found to be obvious by means of reducing
visceral fat contents and improving serum lipid profiles through enhancing the lipid excretion in the feces
(p<0.05). Leptin concentration of r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kimchi consumption (p<0.05).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adipocytes in these animals were fewer than that of HFD group. The plasma bililubin
concentration was lower in kimchi group than HFD, meaning that returning bile from ileum to the liver was
reduced. When the observe beneficial effects of kimchi on preventing obesity were compared among kimchi
groups, SK only reduced the relative visceral fat contents significantly than other kimchi groups (p<0.05).
Besides this, other parameters such as plasma lipid profiles, feces lipids, leptin, and bililubin concent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ven though the most beneficial effect on these parameters was observed
from SK. In conclusion, long term c onsumption of SK seems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prevention
of obesity through enhancing the excretion of lipids in the feces. The dietary fiber content of SK was increased
by 7% compared to CK when 20% of sea tangle was added.
Key words: sea tangle, Korean cabbage kimchi, weight reduction, lipid lowering effect
†
Corresponding author. E-mail: yosong@pusan.ac.kr
†
Phone: 82-51-510-2847, Fax: 82-51-583-3648
서 론
우리나라 성인 중 BMI 25 이상인 사람은 2000년 국민영양
조사에서 27.4%이었으나 2005년 조사에서는 31.8%로 증가
하여 비만인구가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비만한
사람에 있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과 같은 성인성질환
의 발병률은 정상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아(2,3) 비만은 단
순한 현상이 아니라 그 자체가 심각한 질환으로 보고되고
있다(4). 비만발생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에너
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한 체지방 축적이 그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5,6). 렙틴은 피하지방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비만인 사람에게서 혈중 농도가 높다. 렙틴의
기능은 뇌의 식이 조절 중추에 작용하여 식이섭취량을 감소
시키고, 열 생산과 활동량을 증가시켜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
시키며(7,8), 골격근의 발달(9) 및 호흡중추에도 영향을 미침
으로써(10) 인체 내 내분비계와 에너지 대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혈중 렙틴 농도는 체
지방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고되고 있다(11-13).
김치의 건강기능성 연구는 주로 지질저하 효과(14,15), 항
산화효과(16), 항암효과(17), 항균효과(18), 체중감소 효과
(19), 면역증진 효과(20) 및 항동맥경화 효과(21,22) 등에 대
하여 진행되어 왔다. 김치는 지방 함량이 낮고 섬유소 함량
이 높아 칼로리가 낮으며, 김치 담금 시 사용되는 부재료인
마늘, 생강, 고추 등에 함유되어 있는 alline, allicine, ginger-
다시마 첨가 배추김치의 체중 감량 및 지질 저하 효과 1141
ol, capsaicin 및 dihydrocapsaicin 등과 발효과정 중 생성되
는 젖산균(23 ) 및 기타 생리활성물질(24) 등이 지질저하 효
과가 있어 체중 감량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마(L. aminaria japonica)는 한국인이 즐겨 먹는 해조
류로 알긴산, 푸코이단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
어 지질저하 효과(25-27)가 있고, 섬유소의 함량이 높아 지
방의 흡수를 방해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맛을 내는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식품의 조미기능을 돕고
있으며, 다른 해조류에 비해 두께감이 어느 정도 있어 식품
에 첨가하였을 때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중감량 효과가 있는 기능성 배추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섬유소가 풍부하고 지질저하 기능성 물질
을 함유한 다시마를 첨가한 해조첨가 배추맛김치(이하 해조
김치) 레시피를 개발하고, 잘 숙성된 해조김치를 고지방식이
를 섭취한 쥐에게 공급하여 지질저하 및 비만억제 효과를
살펴보았다. 기능성 해조김치의 비만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체중, 내장 지방량 및 혈청 렙틴 농도를 측정하였고,
지질저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혈액 및 간으로부터 중성
지방,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기능성 해조김치의 비만 억
제 및 지질 저하 효과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혈청의 빌리
루빈 농도와 분변의 지질 패턴을 측정하였다.
재료 및 방법
김치 재료
배추는 김해(경남)에서 생산된 포기당 중량이 2.0~2.5 kg
인 것을 사용하였고, 고춧가루는 충북 재천 농협 고춧가루,
젓갈은 하선정 멸치액젓을, 소금은 천일염을 사용하였고, 그
밖에 부재료인 다시마, 무, 당근, 마늘, 생강은 김치 제조 당
일 재래시장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용 김치 종류
해조류를 첨가한 기능성 김치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에 사용한 김치는 배추맛김치(이하 대조김치라
함), 배추맛김치에 다시마 및 당근 등의 부재료를 첨가시킨
해조김치, 그리고 시판용 J-배추맛김치(D사, 원주, 이하 J-
김치라 함)이다. 실험실에서 담근 배추맛김치는 본 실험의
대조군으로, 그리고 시판용 J- 배추맛김치는 해조김치의 효
과 검증을 위한 긍정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사용하였
다. J-김치는 본 실험용 김치와 제조일이 같은 날 출하된
김치를 구입하여(L 마트) 사용하였다.
김치 담금
대조군김치(28)와 해조김치 제조를 위한 배추절임은 다
음과 같다. 2~2.5 kg의 통배추를 8등분하고 3×4 cm로 절단
하여 염도 10%의 소금물에 2~3시간 절였다. 절임을 균등하
게 하기 위하여 배추를 무거운 것으로 눌러 주었고, 절임
1시간 후 배추를 위, 아래로 고루 섞었다. 배추의 염도가
1.9±0.1%에 도달하였을 때 흐르는 물에 3회 세척하고 3~4
시간 정도 방치하여 자연탈수시켰다. 다시마는 끓는 물에
1분가량 데쳐서 배추보다 조금 작은 크기(2×3 cm)로 썰어서
사용하였다.
해조김치 레시피 개발을 위하여 첨가한 다시마의 양은 다
시마를 제외한 김치재료 총 무게의 10~30% 범위 내 첨가되
도록 하여 Table 1과 같이 김치를 담군 후 관능검사 결과로
다시마 최적 첨가량을 결정하였다. 해조김치의 지질저하 효
과를 살펴보기 위해 동물실험에 사용된 김치 레시피는 다음
과 같다. 대조군 김치(Korean cabbage kimchi used as con-
trol kimchi; CK)는 절인 배추 76 g, 무 13 g, 파 2 g, 고춧가루
3.5 g, 마늘 1.5 g, 생강 0.6 g, 멸치액젓 2.2 g, 설탕 1 g을
첨가하였고, 해조김치(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SK)는 절인 배추 60 g, 다시마 20 g, 무 15 g, 당근
5 g, 고춧가루 3.2 g, 마늘 1.4 g, 생강 0.5 g, 멸치액젓 2 g,
설탕 0.9 g을 첨가하였다. 실험실에서 담근 김치와 시판되고
있는 J-김치(J-kimchi; JK)는 김치냉장고용 김치 통에 눌러
담은 후 5oC로 설정된 김치냉장고(HNR2217S, S Electron-
ics, Korea)에서 보관하였다. 김치의 최종 염도는 2.1±0.1%
이었다.
관능검사
기능성 해조김치의 레시피 개발은 관능검사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다시마의 첨가량과 형태 그리고 숙성과정 중의
김치 맛의 변화를 9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평가항
목은 외관(appearance), 풋내(fresh cabbage like smell), 신
내(acidic smell), 군덕내(moldy smell), 덜 익은 맛(fresh
cabbage like taste), 신맛(acidic taste), 군덕맛(moldy taste),
새콤한 맛(sweetly sour taste), 아삭아삭함(crispness), 종합
적인 평가(overall acceptability)이었다. 9점 척도법을 이용
하였을 때 평가 점수 1점은 아주 약함이나 아주 나쁨, 5점은
보통, 9점은 아주 강함이나 아주 좋음으로 나타내었다.
Table 1. Recipe developed for the preparation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a n d its sensory evaluation
result
Ingredients (g) A1) BC
Korean cabbage
Sea tangle
Radish
Carrot
Red pepper powder
Garlic
Ginger
Fermented anchovy juice
Sugar
73
10
18
-
4.2
1.8
0.7
2.6
1.2
60
20
15
5.0
3.2
1.4
0.5
2.0
0.9
50
25
20
5.0
3.2
1.4
0.5
2.0
0.9
Overall acceptability2) 5.4 7.2 6.7
1)The final percentage of sea tangle added to the recipe A, B
and C is 9, 18.5, and 23.1%, respectively.
2)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kimchi of which
acidity is 0.75±0.05%. Nine point scale from 'very good=9'
to 'very bad=1'.
1142 구화숙․노정숙․윤예랑․김현주․권명자․최홍식․송영옥
pH, 산도, 환원당 및 젖산균 측정
실험에 사용된 대조김치, 해조김치, 그리고 J-김치의 발효
양상은 pH, 산도, 환원당 및 젖산균 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
다. 이화학 실험을 위한 김치시료는 김치통의 아래에서부터
사용하였다. 김치는 전기녹즙기(Angla AJM-2515, (주)엔
젤)를 사용하여 액즙을 얻었다. 김치의 pH는 pH meter
(Orion Research Inc., Boston, MA, USA)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고, 총산도는 김치액 10 mL를 0.1 N NaOH 용액으로
pH 8.1까지 중화시키는데 소비된 0.1 N NaOH의 소비 mL를
lactic acid(%, w/w) 함량으로 환산하여 적정산도(%, w/ v)
로 표시하였다(29). 김치 젖산균의 측정은 평판계수법을 이
용하였다(30).
동물 실험
4주령의 Sprague-Dawley(SD)계 흰쥐 40마리를 구입하
여((주)오리엔트, 서울) 1주일간 일반식이로 적응시킨 후 실
험에 사용하였다. 기능성 해조김치의 비만 억제효과를 살펴
보기 위한 동물 실험군은 고지방식이군(High fat diet group,
HFD), 대조김치군(HFD containing freeze-dried control
kimchi, HCK), 해조김치군(HFD containing freeze-dried
control kimchi supplemented with 20% of sea tangle,
HSK) 그리고 J-김치군(HFD containing freeze-dried
J-kimchi, HJK)으로 모두 4군으로 각 군당 실험동물은 10마
리씩이었다. 실험시작 시 각 군의 쥐의 평균체중(142±0.63
g)은 동일하도록 임으로 배치하였으며, 동물은 한 케이지에
2마리씩 넣어 사육하였다. 사육실의 온도(20±2oC)와 습도
(50±10%)는 자동적으로 조절되었다. 사육실의 명암 cycle
은 12시간 간격이며 07:00~19:00에 불을 켜 두었다.
식이조제
고지방 식이는 AIN-93 가이드라인(31)을 기본으로 하여
조제하였다. 지방급원으로 라드 15%(w/w)와 옥수수유 5%
(w/w)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이 때 지방이 차지하는 에너
지 비율은 총 에너지의 40% 수준이었다. 김치는 고지방식이
에 첨가하기 위하여 산도 0.75±0.05%에 도달하였을 때 동
결 건조시켰으며, 첨가량은 10%(w/w)이었다. 각 실험군 별
사료의 에너지 수준은 동일하게(460 kcal/100 g) 조제하였다
(Table 2). 조제한 식이는 고형으로 만들어 건조시킨 후
-18oC 냉동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각 실험군에 공급된 식이량은 고지방식이군의 평균 섭취
량에 준하여 제한 식이를 실시하였는데 이는 식이섭취량의
차이에서 오는 문제점을 배제하기 위해서이다. 식이는 1일
1회 동일한 시간에 제공하였고 물은 자유로 섭취하도록 하
였다. 식이섭취량은 매일, 체중은 매주 한 번씩 측정하였고,
식이효율은 실험 동안 체중증가량을 식이섭취량으로 나누
어서 구하였다.
해부 및 장기적출
8주 사육 후, 12시간 절식시킨 다음 에테르로 마취시킨
Table 2. Composition of the experimental diet1)
(g/100 g diet)
Ingredients Experimental groups2)
HFD HCK HSK HJK
Casein
Sucrose
Corn starch
Corn oil
Lard
Cellulose
DL-methionine
AIN-mineral mixture
AIN-vitamin mixture
Choline bitrate
Freeze dried kimchi
20
40
10
5
15
5
0.2
3.5
1
0.3
-
20
39.4
10
4.7
15
5
0.2
3.5
1
0.3
10
20
39.5
10
4.8
15
5
0.2
3.5
1
0.3
10
20
39.4
10
4.7
15
5
0.2
3.5
1
0.3
10
Total 100 109.1 109.3 109.1
1)The calorie of diet was prepared to be same, 460 kcal/100 g,
among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AIN-93 guide line.
2)HFD: high fat diet, HCK: high fat diet containing control kim-
chi which is Korean cabbage kimchi, HSK: high fat diet con-
taining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HJK: high
fat diet containing J-kimchi (commercially available one at
market).
후 개복하였고, 혈액은 하대정맥 및 심장에서 채취하였다.
채혈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PBS) 용액으로 관류하여
장기 내 혈액을 제거한 후, 간과 심장, 신장, 폐 및 고환을
떼내어 생리식염수로 씻은 다음 여과지로 수분을 완전히 제
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내장지방은 각 장기의 주변을
덮고 있는 지방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혈청 지질, 렙틴 및 빌리루빈 측정
혈액은 즉시 분리하여 혈청을 얻었으며, 혈청 지질, 렙틴
및 빌리루빈의 농도는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자동분석기로
분석하였다(이원임상검사센터, 서울). 중성지질, 총콜레스
테롤,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및 bilirubin 농도
분석에 사용된 기기는 Olympus AU 5200(Olympus Diag-
nostic Systems, Melville, NY, USA)이었고, 렙틴은 Cobra
Ⅱ Gamma Counter(Packard Instrument Co., Rockford,
Illinois,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 및 분변의 지질농도 측정
간과 분변으로부터 지방을 추출하여 kit을 이용하여 총콜
레스테롤 농도(total cholesterol AM 202-K, 아산제약)와 중
성지방 농도(TG-S AM 157, 아산제약)를 측정하였다(32,
33). 간 및 분변의 지방 추출액을 4배 희석하여 이중 0.1 mL
를 분석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희석한 지방의 용매를 1차 휘
발시킨 뒤 0.2 mL의 에탄올에 용해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에 각 효소시약을 넣고 37oC 수욕조에서 5~10분간 반
응시켜 발색시킨 후, 총콜레스테롤은 500 nm, 중성지방은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발색시켜 흡광
도를 측정한 후, 시료의 흡광도 값을 대입하여 총콜레스테롤
과 중성지방 함량을 구하였다.
다시마 첨가 배추김치의 체중 감량 및 지질 저하 효과 1143
Table 3. Characteristics of Korean cabbage kimchi containing sea tan gle fermented at 5oC for 10 days
Kimchi1) pH Acidity (%) Leuconostoc sp. (log CFU/mL) Lactobacillus sp. (log CFU/ mL)
CK
SK
JK
4.17
4.15
4.13
0.68
0.75
0.76
7.85
8.50
7.97
7.40
7.60
6.74
1)CK: Korean cabbage kimchi used for the control. Brined Korean cabbage 100 g, radish 13 g, green onion 2 g, red pepper powder
3.5 g, ginger 0.6 g, garlic 1.4 g, fermented anchovy juice 2.2 g. SK: CK supplemented with 18.5% of sea tangle. Brined Korean cabbage
60 g, sea tangle 20 g, radish 15 g, carrot 5 g, red pepper powder 3.2 g, garlic 1.4 g, ginger 0.5 g, fermented anchovy juice 2.0 g,
sugar 0.9 g. JK: J-cabbage kimchi made by of D company (Receipt is not available).
Table 5. Change in body weight,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 (FER) of rats fed high fat diets supplemented with
kimchi for 8 weeks
Group1) Initial weight (g) Final weight (g) Weight gain (g/day) Food intake (g/day) FER3)
HFD
HCK
HSK
HJK
142.14±5.642)NS
142.42±7.02
142.63±3.72
142.19±3.08
512.50±18.37a
476.67±30.11b
481.67±18 .35ab
471.67±35.45b
5.77±0.30NS
5.44±0.26
5.61±0.15
5.64±0.29
19.27±0.30NS
19.11±0.40
19.12±0.43
18.72±0.95
0.29±0.01NS
0.30±0.02
0.28±0.01
0.29±0.01
1)See the legend of Table 2.
2)Values are mean±SD (n=10).
3)Food efficiency ratio (FER): weight gain (g/day) / food intakes (g/day).
a,bDat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ne-way ANOV A follow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NS: not significant.
결과 및 고찰
해조김치 레시피 개발 및 발효양상
다시마를 첨가한 해조김치의 레시피 개발은 숙성기간별
로 실시한 관능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하였다. 예비실험 결과
해조김치 맛은 다시마 첨가량이 높을수록 좋았으나 김치의
외관이 나빠졌다. 김치의 외관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다시마 첨가량 30% 이하 범위에서 김치레시피를 개
발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시마가 18.5%(w/w) 함유
된 레시피로 담근 김치의 종합적인 평가가 가장 우수하였으
며, 이 때 종합평가 점수가 9점 만점에서 7.2점을 받아 관능
평가가 높게 나왔다(Table 1).
다시마가 18.5% 첨가된 해조 김치의 발효양상(5oC)을 살펴
보았을 때 다시마 첨가군의 산도가 저장 10일째 대조군에 비
해 높아 다시마를 첨가 시 김치의 숙성이 빨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해조김치의 Leuconostoc sp.와 Lactobacillus
sp. 성장도 충분히 일어나 전형적인 김치 발효양상을 나타내
었다(Table 3).
해조김치의 지방함량 및 섬유소 함량
산도 0.75±0.05%에 도달한 숙성이 알맞게 된 김치를 동
결 건조하여 이들의 지질저하 관련 성분을 비교해 보았을
때(Table 4) 대조김치와 J- 김치의 일반성분은 비슷하였고,
다시마를 첨가한 해조김치는 다른 김치에 비해 지방함량은
낮고 조섬유소 및 식이섬유소의 함량은 높아 해조김치에는
비만 억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해조김치의 식이
섬유소 함량은 대조김치에 비해 7%, 그리고 J-김치에 비해
11% 높았다.
Table 4. Content of lipid and fiber of freeze⁃dried sea tangle
added Korean ca bbage kimchi1) (%)
Kimchi2) Crude lipid Crude fiber Dietary fiber
CK
SK
JK
2.83
1.94
2.90
10.24
13.28
10.63
29.42
36.45
25.76
1)Acidity of kimchi was 0.75±0.05%.
2)See the legend of Table 3.
해조김치의 비만 억제 효과
체중, 내장지방 함량:식이섭취량 차이에 의한 실험의 오
차를 줄이기 위하여 고지방식이군의 식이량에 맞추어 8주간
제한식이를 실시하였다. 고지방식이군의 체중은 8주 동안
4배 증가하여 지방을 20% 함유한 식이는 비만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Table 5). 대조김치군, 해조김치군 및 J-김치군
의 체중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7%, 6% 및 8% 감소하여
김치섭취에 의한 체중감소 효과가 관찰되었으나 김치 종류
에 따른 체중감소 효과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는
김치식이군의 칼로리가 동일하게 제조되었고, 공급된 식이
량도 동일하였음으로 총 섭취 칼로리에 차이가 없었기 때문
으로 생각된다.
김치를 섭취한 쥐의 내장지방 함량을 비교해 보았을 때,
고지방식이군이 가장 높았고, 대조김치군, J-김치군 그리고
해조김치군 순이었다(Table 6). 내장 지방함량을 체중을 고
려하지 않고 총지방량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김치 섭취에
의해 23~35% 정도 내장 지방축적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p<0.05), 김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
나 내장지방함량을 체중에 대한 상대적인 비로 환산하여 비
교하여 상대적인 내장 지방량으로 나타내었을 때(34) 체중
100 g당 지방축적 억제 정도는 9~17%로 다른 김치군간의
1144 구화숙․노정숙․윤예랑․김현주․권명자․최홍식․송영옥
Table 7. Concentrations of serum lipids of rat fed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kimchi for 8 weeks (mg/mL)
Group1) Triglyceride Total-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HFD
HCK
HSK
HJK
129.0±26.02)a
79.0±26.9 b
62.7±15.8b
77.3±29.0b
99.0±19.7a
85.8±11.1ab
77.8±10.5b
76.0±4.3b
64.8±10.1NS
66.8±11.2
61.6±7.3
58.8±4.4
10.3±6.7NS
8.0±2.0
6.3±2.2
7.5±2.1
1)See the legend of Table 2. 2)Values are mean±SD (n=10). a,bDat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ne-way ANOVA follow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NS: not significant.
Table 6. Amount of visceral fat of rat fed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kimchi for 8 weeks
Group1)
Visceral fat
Total amounts (g) Relative amounts
(g/ 100 g B.W.)
HFD
HCK
HSK
HJK
43.81±6.562)a (100%)
33.86±4.80b(77.3%)
28.35±1.54b(64.7%)
31.98±2.12b(73.0%)
7.15±0.75a(100%)
6.53±0.98ab (91.3%)
5.93±0.59 b(82.9%)
6.39±0.57ab (89.3%)
1)See the legend of Table 2. 2)Values are mean±SD (n=10).
a,bDat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ne-way ANOVA fol-
low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상대적인 내장지방 축적 억제 효과는 관찰되지 않고 해조김
치 섭취군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이 관찰되었다(p<
0.05). 해조김치섭취에 의한 상대적인 내장지방량은 대조군
김치섭취군에 비해 8.4%, J-김치 섭취군에 비해 약 6.4% 억
제되어 해조김치의 비만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혈청 렙틴 농도:혈청 렙틴 농도는 고지방식이군(0.29±
0.02 mg/dL)이 가장 높고, 대조김치군(0.15±0.12 mg/dL),
J-김치군(0.12±0.05 mg/dL) 그리고 해조김치군(0.12±0.01
mg/dL) 순으로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대조김치군은 48 %, 해
조김치군과 J-김치군은 각각 59% 낮았으나(p<0.05), 김치
를 섭취시킨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Fig. 1). 본 결과는 내장
총지방량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내장에 축적된 총 지방
량은 김치 섭취에 의해 23~35%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김치군간의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해조김치를
섭취한 쥐의 혈중 렙틴 농도는 대조김치에 비해 11% 정도
낮아 해조김치를 장기적으로 섭취할 때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혈중 렙틴 농도는 체
지방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35), 고지방식이는 렙틴
의 발현을 촉진시켜 혈중 렙틴 농도를 증가시킨다고 보고되
어 있다(36 ,37).
혈중 지질 농도:김치식이가 고지방을 섭취한 쥐에서 혈
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대조김치군,
해조김치군 및 J-김치군의 중성지질 농도는 고지방식이군
에 비해 39%, 51% 및 40%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Table
7, p<0.05).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는 해조김치군
(21%)과 J-김치군(23%)에서만 유의적으로 관찰되었다(p<
0.05). 김치 섭취에 의한 LDL-C와 HDL-C의 변화는 관찰되
지 않았다. 김치의 지질저하 효과는 여러 연구를 통하여 보
a
b
bb
0
0.1
0.2
0.3
0.4
0.5
HFD HCK HSK HJK
Serum Leptin Conc. (mg/dL) .
Fig. 1. Serum leptin concentration of rat fed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kimchi for 8 weeks1).
1)See the legend of Table 2.
a,bDat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ne-way ANOVA follow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Values are mean±SD (n=10).
고되었는데 일반식이 또는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동물의 경
우 혈중 중성지방의 저하 효과가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38),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시킨
동물인 경우에는 김치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총 콜레스
테롤뿐만 아니라 LDL-C를 저하시키는 효과도 유의적인 것
으로 보고되고 있다(21). 본 연구에서 해조김치군의 혈청 중
성지질 농도는 대조군 김치나 J- 김치군에 비해 약 12% 정도
낮아졌으며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8% 정도 낮
았다. Seal과 Mathers 연구(39)에서 다시마의 활성성분 중
alginate를 5%와 10% 섭취시킨 결과 plasma cholesterol과
triglyceride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낮추었는데, 본 연구에서
해조김치의 지질저하효과는 다시마 식이섬유의 의한 효과
가 어느 정도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해조김치의 비만 억제 관련기전
분변의 지질 농도:해조김치의 비만 억제효과에 관한 기
전 중 분변으로의 지질 배설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해부 전 이틀 동안 분변을 수집하여 지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Table 8). 분변의 중성지방 농도는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대
조김치군(36%), 해조김치군(49%) 및 J-김치군(32%)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분변중의 콜레스테
롤 농도도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대조김치군(61%), 해조김
치군(71%) 및 J-김치군(65%)에서 증가하였다(p<0.05). 해
다시마 첨가 배추김치의 체중 감량 및 지질 저하 효과 1145
Table 8. Effects of kimchi on fecal lipids concentrations of
rats fed high fat diets for 8 weeks
Group1) Lipid (mg/g dry wt)
Triglyceride Cholesterol
HFD
HCK
HSK
HJK
14.73±2.282)b
19.96 ±0.74a
21.90±4.54a
19.38 ±1.42a
10.89±1.49b
17.56±1.99a
18.62±2.48a
17.92±0.50a
1)See the legend of Table 2. 2)Values are mean±SD (n=10).
a,bDat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ne-way ANOVA fol-
low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조김치군의 지질저하 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중성
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배설 촉진 효과가 10% 이상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혈중 빌리루빈 농도:해조김치의 비만 억제 효과에 관한
기전 중 담즙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혈액으로 재 흡수된 담즙이 간에서 분해되어 혈중 빌리루빈
으로 배설된 양을 측정하였다. 해조김치의 혈청 빌리루빈의
농도는 고지방식이군(0.34±0.05 mg/dL)이 가장 높고, 대조
김치군(0.31±0.03 mg/dL), 해조김치군(0.26±0.02 mg/dL)
그리고 J-김치군(0.22±0.03 mg/ dL) 순으로 고지방식이군
에 비해 9%, 24% 및 35% 유의적으로 감소하여(Fig. 2, p<
0.05) 김치섭취에 의한 담즙 재흡수 억제 기전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김치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해조김치군의 담즙 재흡수 억제 효과는 대조군 김치에 비해
약 15% 정도 높았다.
본 연구 결과 해조김치는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해조김치 섭취군의 상대적인 복
부지방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지방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렙틴 농도는 유의적이지는 않았
으나 약 10% 정도 낮았다. 이러한 현상은 지방세포로 이동
b
b
b
a
0
0.1
0.2
0.3
0.4
0.5
HFD HCK HSK HJK
Total bilirubin Conc. (mg/dL) .
Fig. 2. Serum total bilirubin concentration of rat fed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kimchi for 8 weeks1).
1)See the legend of Table 2.
a,bDat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ne-way ANOVA follow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Values are mean±SD (n=10).
하는 지단백질내의 중성지방의 농도가 낮아졌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해조김치 섭취군의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대조
군에 비해 12% 낮았고 분변의 중성지방 농도는 약 13 % 높
아 해조김치에 함유되어 있는 식이섬유소가 중성지방의 흡
수를 방해하여 분변으로 배설을 촉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장내 세균에 의해 발효되어 생성된 단
쇄지방산이 3-hydroxy-3-methyl glutaryl CoA reductase
(HMG-CoA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저해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레스테롤 pool
의 감소가 혈액과 간조직 중의 콜레스테롤 turnover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40). 해조김치의 콜레스
테롤 저하 효과도 관찰되었는데, 해조김치군의 혈중 콜레스
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8% 낮았고, 분변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10% 증가하였다. 이는 아마도 해조김치가 식이콜레
스테롤 흡수 방해보다는 담즙의 재흡수를 억제하였기 때문
으로 여겨지는데 본 실험에 사용한 합성식이에는 콜레스테
롤이 첨가되지 않았고, 분변의 스테롤 함량은 측정하지 않
았으나 혈중 빌리루빈 농도를 측정해 보았을 때, 해조김치
군의 빌리루빈 농도가 대조군에 비해 15% 낮아져, 담즙의
재흡수가 억제되었음을 상대적인 결과를 통하여 추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해조김치의 비만억제 효과는 다시마 첨가에
의해 식이섬유소 함량이 대조 김치에 비해 7% 더 높아짐으
로써 식이 지질의 흡수 및 담즙의 재흡수 방해 정도가 높아
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점성이 높아
장내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지질의 흡수를 저해하여 이들의
배설을 촉진하거나, 또는 장관에서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과 직접 결합하여 이들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잘 알
려져 있다(41).
해조김치의 비만억제 효과를 시판용 공장김치인 J-김치
와 비교해 보았을 때 상대적인 내장 지방량 감소(-6%), 혈중
중성지질 농도 저하(-11%) 그리고 분변의 중성지방 배설
촉진(+17%) 등이 관찰되었으나 렙틴 농도 및 빌리루빈 농
도, 그리고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는 두 김치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다시마를 20%
가량 함유하고 있는 배추김치는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지방
함량이 낮고, 섬유소 함량이 높아 이를 장기 섭취하였을 때
식이성 지질 흡수를 방해하여 혈중 지질 농도를 낮춤으로써
체지방의 축적을 억제하여 비만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체중감량 효과가 있는 기능성 배추김치를 개발하기 위하
여 기호도가 우수하고 섬유소가 풍부하여 지질저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다시마를 첨가한 해조첨가 배추맛김치(이하
해조김치) 레시피를 개발하고, 잘 숙성된 해조김치를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쥐에게 공급하여 지질저하 및 비만억제 효과
1146 구화숙․노정숙․윤예랑․김현주․권명자․최홍식․송영옥
를 살펴보았다. 배추김치에 다시마를 20% 정도 첨가하였을
때(해조김치) 종합적인 관능평가가 가장 우수하였다. 해조
김치의 숙성 특성은 일반 김치와 같이 전형적인 발효양상을
보였다. 해조김치의 비만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0%
고지방식이에 동결 건조한 김치 10%를 첨가하여 쥐를 8주
간 사육하였다. 실험군으로는 고지방식이군, 대조김치군, 해
조김치군 그리고 시판용 공장김치를 첨가한 J-김치군으로
하였다. 식이 섭취량, 식이효율은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
가 없었다. 김치첨가에 의한 효과를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
여 보았을 때 상대적인 내장 지방량은 해조김치군(-17%),
J-김치군(-11%) 그리고 대조김치군(-9%) 순으로 감소하였
다(p<0.05). 혈청 leptin 농도는 해조김치군(-59 %)에서 감소
하였는데(p<0.05), 이는 해조김치군의 지방세포의 수가 대
조군에 비해 감소함을 의미한다. 혈청 빌리루빈 농도는 해조
김치군(-24%)에서 감소하였다(p<0.05). 혈청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지방군에 비해 각각 해조김치군(-51%
와 -21%), J-김치군(-40%, -23%) 그리고 대조김치군(-39%,
-13%)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분변의 중성지방과 콜
레스테롤 농도는 각각 해조김치군(49%와 71%), 대조김치군
(36%, 61%), 그리고 J-김치군(32%, 65%)에서 증가하였다.
김치 종류에 따른 비만억제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해조김치
의 상대적인 내장 지방량은 다른 김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렙틴, 혈청지질, 분변지질 및 빌리루빈의 농
도는 김치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해조김치군의 비
만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일반
김치에 비해 해조김치를 섭취하면 체중 감량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해조김치의 비만 억제 기전은 다시
마 첨가에 의해 식이섬유소의 함량이 7% 증가함으로써 소
장에서 식이지방 흡수를 방해하여 혈청 중성지방의 농도를
낮추고 이로 인하여 지방세포로 중성지질의 이동이 낮아져
복부지방 축적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농림부에서 시행한 농림기술개발사업(302001-
03-2-HD110)의 협동연구과제로 수행된 결과로 연구비 지
원에 감사드립니다.
문 헌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i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Korea.
2. Witteman JCM, Willet WC, Stampfer MJ, Colditz GA,
Sacks FM, Speizer FE, Rosner B, Hennekens CH. 1989. A
prospective study of nutritional factors and hypertension
among US women. Circulation 80: 1320-13 27.
3. Westlund K, Nicolaysen R. 1972. Ten-year mortality re-
lated to serum cholesterol: a followup of 3751 men aged
40-49. Scand J Clin Lab Invest 30: 1-24.
4. Ceschi M, Gutzwiller F, Moch H, Eichholzer M, Probst-
Hensch NM. 2007. Epidem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obesity as cause of cancer. Swiss Med Wkly 27: 50-56 .
5. Grundy SM. 1998. Multifactorial causation of obesity: im-
plications for prevention. Am J Clin Nutr 67: 563S- 572S.
6. Albu J, Allison D, Boozer CN, Heymsfield S, Kissileff H,
Kretser A, Krumhar K, Leibel R, Nonas C, Pi-Sunyer X,
Vanltallie T, Wedral E. 1997. Obesity solutions: report of
a meeting. Nutr Rev 55: 150-156.
7. Considine RV, Sinha MK, Heiman ML. 1996. Serum im-
munoreactive leptin concentrations in normal weight and
obese humans. N Engl J Med 334: 292-295.
8. Mistry AM, Swick AG, Romos DR. 1997. Leptin rapidly
lowers food intake and elevates metabolic rats in lean ob/ob
mice. J Nutr 127: 2065-2072.
9. Steppan CM, Crawford DT, Chidsey-Frink KL, Ke H,
Swick AG. 2000. Leptin is a potent stimulator of bone
growth in ob/ob mice. Regyl Pept 92: 73-78.
10. O'Donnell CP, Tankersley CG, Polotsky VP, Schwartz AR,
Smith PL. 2000. Leptin, obesity and respiratory function.
Physiol 119: 163 -170.
11. Matheny LH, Michael NM, Scarpace PJ. 1997. Leptin gene
expression increases with age independent of increasing
adiposity in rats. Diabetes 46: 2035-2039.
12. Colombo C, Cutson J, Yamauchi T. 2002. Transplantation
of adipose tissue lacking leptin is unable to reverse the
metabolic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lipoatrophy.
Diabetes 51: 2727-2733 .
13. Miaianu L, Zhu JH, Rogers NL. 2000. In vitr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and serum leptin levels
and degree of adiposity in adult rats. Diabetes 49: 313-320.
14. Choi SH, Kim HJ, Kwon MJ, Baek YH, Song YO. 2001.
The effects of kimchi pill supplementation 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in healthy peop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13-920.
15. Jeon HN, Kwon MJ, Song YO. 2002. Effect of kimchi sol-
vent fractions on accumulation of lipids in heart, kidney and
lung of rabbit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14-818.
16. Jeon HN, Kim HJ, Song YO. 2003. Effects of kimchi solvent
fractions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of heart, kid-
ney and lung of rabbit fed a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50-255.
17. Cho EJ, Rhee SH, Kang KS, Park KY. 1999. In vitro anti-
cancer effect of chinese cabbage kimchi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26-1332.
18. Sheo HJ, Seo YS. 2003. The antibacterial ac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on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Enterobacter
cloaca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51-13 56.
19. Baek YH, Kwak JR, Kim SJ, Han SS, Song YO. 2001.
Effects of kimchi supplementation and/or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plasma lipids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06-912.
20. Kim MJ, Kwon MJ, Song YO, Lee EK, Youn HJ, Song YS.
1997. The effects of kimchi on hematological and immuno-
logical parameters in vivo and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7.
21. Kwon MJ. 1998. Antiatherogenic effect of Baechu kimchi.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2. Kim HJ. 2004. The preventive and theraputic effects of
3-(4'-hydroxyl-3',5'-dimethoxyphenyl)propionic acid, an
active principle in kimchi, on atherosclerosis in rabbit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다시마 첨가 배추김치의 체중 감량 및 지질 저하 효과 1147
23. de Roos NM, Katan MB. 2000. Effects of probiotic bacteria
on diarrhea, lipid metabolism, and carcinogenesis: a review
of papers published between 1988 and 1998. Am J Clin Nutr
71: 405-411.
24. Kim HJ, Kwon MJ, Seo JM, Kim JK, Song SH, Suh HS,
Song YO. 2004. The effect of 3-(4'-hydroxyl-3',5'-dime-
thoxyphenyl)propionic acid in Chinese cabbage kimchi on
lowering hypercholesterol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52-58.
25. Tsuji E, Tsuji K, Suzuki S. 1975. Effect of polysaccharides
on cholestrol metabolism (part 6) effect of various poly-
saccharides on serum and liver cholesterol levels in choles-
terol-fet rats. Eiyogaku zashi 33: 273- 281.
26. Kimura T, Tsuji K. 1993. Effects of the primary structure
of alginate on fecal excretion of sodium in rats. Nippon
Nogeikagaku Kaishi 67: 1177-1183.
27. Tsai AC, Elias J, Kelley J, Lin RC, Robson JRK. 1976.
Influence of certain dietary fibers on serum and tissue cho-
lesterol levels in rats. J Nutr 106: 118-123.
28. Cho EJ. 1999. Standardization and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60.
30. James GC, Sherman N. 1987. Microbiology: A laboratory
manual.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 New-York.
p 76.
31. Reeves PG, Nielsen FH, Fahey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on the re-
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 J Nutr 123: 19 39-
1951.
32. Bucolo G, David H. 1973.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e-
rum triglycerides by the use of enzymes. Clin Chem 19:
476-482.
33. Yao T, Sato M, Kobayashi Y, Wasa T. 1985. Amperometric
assays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by the com-
bined use of immobilized cholesterol esterases and choles-
terol oxidant reactors and peroxidase electrode in a flow
injection system. Anal Biochem 149: 387-389.
34. Kuk JL, Katzmarzyk PT, Nichaman MZ, Church TS, Blair
SN, Ross R. 2006. Visceral fat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all-cause mortality in men. Obesity 14: 336-341.
35. Considine RV, Sinha MK, Heiman MI, Kriauciunas A,
Stephens TW, Nyce MR, Ohannesian JP, Marco CC, Mckee
LJ, Bauer TL, Caro JF. 1996. Serum immunoreactive leptin
concentrations in normal weight and obese humans. New
Eng J Med 334: 292-295.
36. Huiqing Lu, Zhengbo D, Craig HKL, Catherine J, Anne B,
Joseph CD. 1998. Obesity due to high fat diet decreases the
sympathetic nervous and cardiovascular responses to in-
tracerebroventricular leptin in rats. Brain Res 47: 331-335.
37. Hong KH, Kang SA, Kim SH, Choue RW. 2001. Effects
of high fat diet on serum leptin and insulin level and brown
adipose tissue UCP 1 expression in rats. Korean J Nutr
34: 865-871.
38. Choi SM. 2001. Antiobes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red
pepper powder and kimchi.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39. Seal CJ, Mathers JC. 2001. Comparative gastrointestinal
and plasma cholesterol responses of rats fed on cholester-
ol-free diets supplemented with guar gum and sodium
alginate. British J Nutr 85: 317-324.
40. Nyman M, Schweizer TF, Tyren S, Reimann S, Asp NG .
1990. Fermentation of vegetable fiber in the intestinal tract
of rats and effects on fecal bulking and bile acid excretion.
J Nutr 120: 459- 466.
41. Kishimoto Y, Wakabayashi S, Takeda H. 1995. Hypocho-
lesterolemic effect of dietary fiber: relation to intestinal fer-
mentation and bile excretion. J Nutr Sci Vitaminol (Tokyo)
41: 151-161.
(2007년 6월 19일 접수; 2007년 7월 11일 채택)